해리포터와 치히로 세대의 요즘 아이들
야마나카 야스히로 지음, 김은진 옮김 / 사람in / 2002년 12월
평점 :
절판


머리말에도 잘 나와 있지만, 이 책은 `요즘 아이들`의 무기력한 표정, 목표를 상실한 듯한 의욕없는 표정 아래 감추어진 실체를 들여다 보는 데 있고 마침 그 도구로서 '해리포터' 시리즈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택한다.

이 책에서 중요한 또 하나의 키워드는 `전사춘기`다. 전사춘기는 말 그대로 사춘기 기전 시기를 의미하는데 저자는 이 시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정신분석학이나 임상치료에서도 아홉 살, 열 살 정도의 아이들에 대해서는 놀라울 정도로 무심한 것이 현실이나 저자는 실제로 이 시기가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점에 도달하'는 때라고 주장한다. 이 때 말하는 최고라는 것은 1차적인 위상이 아니라 직선적, 계단적인 것이다. '요컨대 전사춘기 무렵에는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정신적 수준 내지 가장 심오한 차원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사실 이 책에서 내게 가장 크게 와 닿은 부분도 여기이다.

그러나 이 책은 가상의 청중과 필자가 대담을 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치밀하고 체계적인 이론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이 책의 장점이자 단점. 이런 포맷으로 다른 아이템을 가지고 책을 만들면 재미있겠다는 생각도...) 이 부분을 다시 한번 읽어 보았더니 그런 허술함이 또 한번 드러나는데, 예를 들면 그 전사춘기 시기가 인간 정신발달의 극점을 보인다고 주장하는 듯 하지만 더 읽어보면 그런 지점에 도달하는 것은 특정한 성향을 가진 일부의 아이들이라는 식으로 또 이야기가 달라진다. p.17을 보면 그렇다. '마음 속의 근원적인 세계에까지 도달해 버리는 아이들은 두 부류인데 하나는 감수성이 매우 풍부한 아이와 또 하나는 자기방어 selfdefense가 매우 약한 아이다....'

아무튼. 이 책에 따르면 전사춘기가 중요한 이유는 '성 발달이 시작되는 사춘기 이전이기' 때문이란다. 성이 발달하고 아이를 낳고 사회성원으로 일해야 하기에 사춘기는 혼돈과 불안의 시기이지만 전사춘기는 그 시기를 지나기 전단계이므로 지극히 순수할 수 밖에 없다고 한다. 여기서 필자는 '투철한 냉철함으로 가득차 있다'라는 말을 썼는데, 참으로 정확한 표현이라 생각한다. 내가 늦되어서인지는 모르겠으나 중학교, 고등학교 때의 나는 순수, 순결에 대한 강박관념이 지나치게 강했던 것 같다. 앙드레 지드의 `좁은문`에서 그려진 사랑이, 내가 인정하는 유일한 사랑의 방식이었던 것만 봐도 그렇다. 당시의 일기장을 들춰보아도 그런 생각이 든다. 소재와 주제 같은 것이 한정되어 있어 유치하긴 하지만 그 글을 쓸 때의 폭발적이고 강렬한 감정이란 건 그 이후로 한번도 경험하지 못했다. 그때 내가 세상을 대하는 감성만 말하자면 셰익스피어도, 김수영 시인도 쫓아오지 못할 거라고 장담할 수 있다.(내가 좀 뻔뻔한가?)

다시 책으로 돌아와서. 정신분석자의 눈으로 다시 한번 '해리포터'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보는 것 역시 즐거운 일이었다. 사실 후자는, 이 책을 덮자마자 비디오가게에 가서 빌려본 것이었다. 직접 내가 영화를 보고 나자 첫장면, 뒷좌석에서 흐리멍텅한 눈으로 누워있는 치히로를 `요즘 아이들의 보편적인 모습`으로 해석한 것이 좀 과한 거 아니냐는 생각도 들었지만 -요즘 애들, 옛날 애들 이렇게 가르는 것 자체가 마음에 안 들었다.- 두배로 즐겁게 영화를 들여다 볼 수 있었다.

중간중간 밑줄 치고 싶은 구절도 많았지만 오늘 나의 독후감은 여기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