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가네시로 카즈키 지음, 김난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가네시로 카즈키

::주일 당직. 오전에 손에 들고 읽기 시작해서, 밤이 되기까지 쉴 새 없이 읽어버렸다. 이 책은 Korean Japaniese라고 스스로를 일컬으며 책을 여는 작가, 가네시로 카즈키의 자전적 성장소설이다.

주인공 스기하라는 재일 한국인이란 껍데기를 걸치고 살아가는 실질적 일본인이다.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조총련계의 민족학교에서 중학교 교육까지 받은 스기하라는, 국적 즉, 북조선이라는 나라에 대한 어떠한 애착이나 자부심도 가지고 있지 않다. 오히려 염증을 느낄 뿐.

코리언 재패니즈란 이름으로 일본에 있는 수많은 사람들이 '차별'에 속박되어 있는 현실을 주인공은 냉소적인 눈으로 일소한다. 그를 둘러싼 여러 사람들. 조총련계 민족학교 친구들, 마르크스 주의자라고 생각하는 아버지, 한국으로의 국적변경 후 입학한 일본식 고등학교에서 만난 친구와 적들을 사이에 하고 이야기가 펼쳐진다. 물론, 작가가 첫 장에 이 책에 관해 연애소설이라 밝혔듯, 일본인 여자친구인 사쿠라이 역시 주인공의 삶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등장한다.

책이 술렁술렁 쉽게 읽혀진 것은, 한일 양국간 끊이지 않아온 이념과 사상의 갈등에 대한 작가의 생각이 복잡하게 얽혀있지 아니하다라는 점이 공헌한 바 크다. 문체 역시 부담없고 '쿨'했다. 재미도 있었고.

주인공은 다분히 사색적이면서 담즙질적인 일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실을 스스럼없이 거부하고, 자유를 찾아 환경을 버릴 줄 아는 용기를 지닌 이면도 가지고 있었다. 뭐, 쉽게 말하면 생각할 줄 아는 반항아 정도로 비약해 두겠다. 독특한 캐릭터가 마음에 들었다. 특히, 주인공이 한밤중에 아버지와 택시를 타고 귀가하던 중 하차해, 공원에서 난투를 벌이는 장면이 인상깊었다. 아버지에 대한 적대감 즉, 마르크스 주의자라는 오해가 풀리며 사람과 사람의 화해의 장으로 초대되는 순간이었다. 누가 상상할 수 있겠는가? 아버지의 간장에 훅을 날리며, 아들의 면상에 강펀치를 먹이는 이 장면을!

단순한 재미를 넘어, 한일 양국간의 깊은 골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삶에 상처를 내어놓아 오는지에 대해서도 다소 생생히 접할 기회가 되어 또 하나의 의미가 되었다. 자전적 소설이니만큼 현실성이 강했던 덕에 책에서 받은 느낌이 컸던 것 같다.

마지막 장, 마지막 대사 "가자"-제목이기도 한-는 무슨 의미일까?
삶의 억압과 차별로부터 진정한 자아의 자유함을 추구하는 것으로의 발걸음?
뒤틀려 오랜 역사를 깨부수는 자기확신에의 강렬한 의지표현?

::책을 덮자마자 두서없이 정리한 탓에,
줄거리의 윤곽을 선명히 잡아내지 못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