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웹 기획
조슈아 포터 지음, 황현수.유상은 옮김 / 인사이트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참 오랜만에 웹 기획에 관한 책을 읽었다. 소셜 웹 기획(Designing for the Social Web)은 웹 서비스 기획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이다.

"웹 2.0"이라는 용어가 유행처럼 번졌듯이 "소셜"이라는 용어도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아니, 이미 퍼질 만큼 퍼져서 IT에 대한 관심이 없는 사람조차도 한번쯤은 다들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 "소셜"이라는 용어가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우리는 이미 사회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줄곳 사용해왔다. 각종 게시판들, 인터넷 카페, 위키 등등, "웹 2.0"이나 "소셜"이라는 용어가 나오기 이전부터 우리는 인터넷 상에서 사회적인 활동을 해왔다.

이 책에서는 이런 일반적인 사회적 활동을 위한 서비스가 아닌 웹 서비스에 사회적인 기능을 추가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준다. 사용자의 관심과 꾸준한 사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어떻게 서비스를 기획할 것인가 하는 이야기를 해준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은 실제 예를 적당히 들어가며 설명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냥 막연한 이야기에만 집중하다보면 말하는 개념을 잡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는데, 실제 잘 하고 있는 서비스, 그렇지 못한 서비스들을 적당히 예를 들어가며 설명을 하고 있으니, 해야할 것과 하지 말아야할 것을 쉽게 정리할 수 있다.

특히 이 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핵심"에 집중하라는 것이다. 이 서비스를 통해 사람들이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해 집중을 하고 이에 맞게 서비스를 기획해야 한다. 사람의 욕심이라는 것이 끝이 없어서, 기획이나 개발을 진행하다보면 초기 기획과는 달리 "핵심" 기능에서 벗어난 이런 저런 기능들을 추가하게 된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혹은 기획자 개발자의 입맛에 따라 주변 기능들을 추가하기 쉽상인데, 이런 것들은 하지 말아야 할 대표적인 일이라고 말하고 있다.

새로운 웹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거나 기존 서비스를 개편할 생각이 있는 사람에게는 많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아니, 이런 생각들이 없더라도 웹 서비스 기획과 개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읽어보는 것이 좋다. 당장 도움이 되지 않더라도 웹 서비스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소셜 웹 기획
    from thoughts.mooo 2010-02-13 21:49 
    참 오랜만에 웹 기획에 관한 책을 읽었다. 소셜 웹 기획(Designing for the Social Web)은 웹 서비스 기획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이다. "웹 2.0"이라는 용어가 유행처럼 번졌듯이 "소셜"이라는 용어도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아니, 이미 퍼질 만큼 퍼져서 IT에 대한 관심이 없는 사람조차도 한번쯤은 다들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 "소셜"이라는 용어가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우리는 이미 사회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줄곳 사..
 
 
 
천년의 금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김진명님은 시원한 소설을 쓰시는 분이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가 그랬고, "한반도"가 그랬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재미있는 책을 잡으면 끝장을 넘길 때까지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한다. 나 또한 이 책을 읽기 시작하고 끝장을 넘길 때까지 꼼짝도 하지 않고 끝까지 읽고야 말았다. 그만큼 소설은 흥미진진하며 이야기의 흐름이 끊기지 않는다.

이런 책을 읽는다는 것은 행복하다. 독서의 가치를 "즐거움"에 두고 있는 나로서는 이런 책을 읽을 때가 가장 행복하다. 손에 한번 들면 끝을 봐야 하는 책. 그래서 나는 김진명님의 책을 좋아한다.

김진명님은 사실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번 "천년의 금서"에서도 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는 국호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에 대한 김진명님의 말씀을 옮겨보자면

대한민국의 한이 어디서 왔느냐고 물으면 삼한이라고 대답하는 게 고작이다. 그러나 이 삼한이 어디서 왔는지는 누구도 알지 못한다.

나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의 국호인 한이 어디서 왔을까 하는 의문에 사로잡혀 한이라는 글자를 담고 있는 이 세상의 갖가지 오래된 기록들을 찾아헤매 왔다. 지구상의 온갖 서책을 다 뒤진다는 각오로 고군분투하던 내게 윤내현 교수의 중국 문헌에 대한 조언은 큰 도움이 되었다.

이 추적의 결과는 놀라운 것이었다.

기원전 7세기 무렵 편찬된 사서삼경 중의 한 권에서 나는 우리의 조상 한후(韓侯)라는 왕을 찾아낼 수 있었고, 후한의 대학자 왕부가 이 한후를 분명 우리의 조상이라고 확인한 저작과도 만날 수 있었다. 뻥 뚫린 상태로 있던 우리의 고대사에 고조선보다 훨씬 이전에 존재한 나라의 확고부동한 실체가 등장한 것이다.

"천년의 금서" 작가의 말 중에서

그렇다. 지금까지 우리는 대한민국의 한이 삼한(三韓)의 한(韓)에서 따왔다는 것으로만 알고 있었다. 하지만, 왜 국호를 만들면서 기껏 한반도 남쪽에 치우쳐있던 삼한을 계승한다고 했을까에 대한 이유를 알지 못했다. 이 소설에서는 이런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결해준다.

부끄럽지만, 사실 난 이 책을 읽기 전까지도 이런 생각을 해보지 못했다. 강산이 네번 바뀔 정도의 나이를 먹으면서도 아직까지 이런 생각을 한번도 하지 않았다는 것이 창피하다. 아마 이런 것들이 우리나라 역사 교육의 문제점일 것이다. 아니, 역사 교육만의 문제라고 하기는 그렇지만, 어쨌든 우리나라 역사 교육에 문제가 있는 것임에는 분명하다고 생각한다. 김진명님은 이런 문제점을 책에서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식민사관에 근거한 우리나라 역사 교육의 문제점을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있다.

물론 아쉬운 점도 없지 않아 있다. 책의 분량이 너무 짧았다. 이기적인 생각일지는 모르겠지만, 난 이 책이 최소한 세 권 정도는 되었으면 좋겠다. 그래서 좀더 상세한 이야기들과 흥미진진한 이야기들로 가득 찼으면 하는 것이 내 바람이다. 책을 너무 재미있게 읽어서인지 읽다보니 금방 책의 끝장을 넘기게 되었다. 실로 너무 큰 아쉬움이 남는다.

이 책을 읽어야겠다고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오마이뉴스에 올라온 김진명의 인터뷰 기사를 읽고서였다. 인터뷰 기사에서 김진명님은 확신에 가득 차 있었고, 책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들을 알려주어, 소설의 내용이 무척 궁금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읽기 시작한 이 책을 감사하게 생각한다.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읽으면서 생각을 할 수 있는 책이며, 우리 민족의 시초에 대해, 역사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볼 수 있게 해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천년의 금서
    from thoughts.mooo 2010-02-13 21:49 
    김진명님은 시원한 소설을 쓰시는 분이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가 그랬고, "한반도"가 그랬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재미있는 책을 잡으면 끝장을 넘길 때까지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한다. 나 또한 이 책을 읽기 시작하고 끝장을 넘길 때까지 꼼짝도 하지 않고 끝까지 읽고야 말았다. 그만큼 소설은 흥미진진하며 이야기의 흐름이 끊기지 않는다. 이런 책을 읽는다는 것은 행복하다. 독서의 가치를 "즐거움"에 두고 있는 나로서는 이런 책을 읽을 때가 가장 행복..
 
 
 
북다트(50pcs-Tin) 책에 손상을 주지 않는 얇은 책갈피
미국
평점 :
절판


크게 기대하지 않았지만, 책에 자국도 남지 않고 쓸만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사들의 제국 - 상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내 오랜 친구이다. 개미에서부터 타나토노트, 천사의 제국, 뇌 등의 그의 책은 날 항상 흥분시키며 자극하는 책들이다.

아직도 "개미"를 처음 읽었을 때의 신선한 충격을 잊을 수 없다. 이 책 또한 그에 못지 않은 베르베르의 해학과 상상력이 절묘하게 표현된 책이다.

"천사들의 제국"에서 베르베르는 천국과 지옥을 묘사하지는 않는다. 한 인간이 죽음을 맞이하고 그 이후에 이어지는 천사로서 걸어가는 길을 이야기하고 있다.

베르베르의 책을 읽다보면 그의 상상력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이 책에서도 영계를 탐험하던 사람이 죽어, 자신의 수호천사의 도움으로 천사가 되고, 다른 사람의 수호천사가 되어 그 사람들의 삶을 돌보게 된다는 줄거리는 그리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이를 엮어가는 내용을 보면 역시 베르베르의 책이구나 하고 느끼게 된다.

"타나토노트"를 읽지 않았다면 이 책을 읽기 전에 읽어보는 것이 좋다. 물론 읽지 않아도 이 책을 읽는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지만, 이 책에서 가끔 인용하는 구절이 "타나토노트"에 나오는 구절이므로 먼저 읽어둔다면 "천사의 제국"을 읽는 즐거움은 배가 될 것이다. 마치 개미에서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에 나오는 내용들을 수시로 인용하여 "백과사전"에 대한 궁금증을 증폭시키기 듯 "천사의 제국"에서도 비슷하게 "타나토노트"의 내용을 인용한다.

이 책은 편하게 기대어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단숨에 읽어내려갈 수 있는 흥미진진함이 이 책의 끝을 볼 때까지 책을 놓을 수 없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천사들의 제국
    from thoughts.mooo 2010-02-13 21:50 
    천사들의 제국 - 베르나르 베르베르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내 오랜 친구이다. 개미에서부터 타나토노트, 천사의 제국, 나무, 뇌 등 그의 책은 날 항상 흥분시키며 자극하는 책들이다. 아직도 "개미"를 처음 읽었을 때의 신선한 충격을 잊을 수 없다. 이 책 또한 그에 못지 않은 베르베르의 해학과 상상력이 절묘하게 표현된 책이다. "천사들의 제국"에서 베르베르는 천국과 지옥을 묘사하지는 않는다. 한 인간이 죽음을 맞이하고 그 이후에 이어지는 천사로서 걸어가..
 
 
 
초보사장! 난생처음 세무서가다 - 2009년 개정판
문상원 지음 / 제우미디어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읽어보면 좋은 각종 세무 관련 정보를 익힐 수 있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