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랩 걸 - 나무, 과학 그리고 사랑 ㅣ 사이언스 걸스
호프 자렌 지음, 김희정 옮김 / 알마 / 2017년 2월
평점 :
새로운 자원을 획득하면 식물은 네 가지 중 하나의 임무, 즉 성장, 보수, 방어, 생식을 할 수 있다.
또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무한정 연기하고 수확한 것을 저장해서 나중에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무엇이 특정 식물로 하여금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만드는 것일까?
결국 알고 보니 새로 획득한 자원을 어디에 쓸지 우리가 고민할 때 고려하는 요인들과 비슷한 요인들의 영향을 식물들도 받고 있었다.
우리의 가능성은 유전자로 제약을 받는다.
그리고 우리가 처한 환경에 따라 특정 선택이 다른 선택보다 더 현명한 선택이 되기도 한다.
- 랩걸, 본문 中 -
가끔은 읽은 감성을 설명해내기 어려운 책을 만날 때가 있다. 책이 너무 지루하거나, 책의 정체성에 대해서 잘 모르거나,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이 뭔지 모르겠을때, 아니면 그 의미를 파악해도 읽은 입장에서 마음에 들지 않을 때는 사뭇 당황스럽다. 평생 펜만 쥔 사람을 납치해서 동굴 앞에 세워둔 다음 곡괭이 한자루를 던져 주면서 가서 다이아몬드를 캐오라는 명령을 받을 때의 느낌이랄까?
[랩걸]은 이 가당찮은 이유를 모두 비껴나가 새로운 방식으로 나를 당황하게 했다. 전혀 걸맞지 않을 것 같은 주제들을 현실감있게, 또 자기 식대로 재미있고 풀어나가는 걸 알려준 책이었기 때문이다. 때문에 나는 이 책 [랩걸]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겠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방식의 책은 리뷰를 쓰는 독자의 입장에선 새로운 과제요, 해결책을 찾아 리뷰를 풀게 되면 짜릿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는 매력을 주곤 한다.
[랩걸]이 말하고 싶은 요지는 겉 표지의 식물과 그리고 속내의 여성이다. [랩걸]의 저자 호프 자런은 여성 과학자로서, 자신이 느껴 온 세계를 식물에 대변해 표현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넣는 형식으로 이 책을 이어 간다. 식물의 이야기를 하는 것과 동시에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읽는 내내 식물 이야기가 나와도 그녀가 떠오르고, 그녀를 떠올리면 덩달아 식물이 떠올려진다.
그녀는 매순간 연구소를 지키기 위해 지원금을 타내야 하고, 그 지원에 걸맞는 연구 성과를 내기 위해 애쓰는 평범한 과학자다. 혼자 땅을 파는 걸 좋아했던 인생 친구 빌을 만나고 나서 연구를 위한 온갖 고생스러운 여정까지도 그녀는 해내었다. 연구소에서 쫓겨나지는 않을까, 내가 잘하고 있는 것인가 하는 자괴감에 빠지는 나약한 면모조차도 과학자의 입장에 처한 현실을 보여주는 데 한 점 포장이 없을 정도다. 과학자로서 사는 삶도 치열한 판국에 신은 그녀에게 한 가지 더 약점을 부여한다. 과학자라는 명사에 '여성'이라는 성별을 붙여주는 고약한 짓을 한 것이다.
과학같이 합리적이고 전문성있고 객관적이어야 하는 학문에서조차 여자는 배타적인 규칙이다. 그녀는 늘 여자 과학자로서 살아가는 것에 대한 편견에 휩싸인 시선과 싸워야했다.
"있잖아, 윌터가 오늘 내 사무실에 찾아왔었어.
...당신이 병가를 내서 쉬고 있는 동안에는 이 건물에 들어와서는 안 된다는 거야."
"어떻게 그럴 수가 있어? 내 실험실인데. 내가 직접 만든 실험실인데..."
"알아, 알아... 나쁜 놈들이지."
남편은 한숨을 쉬며 말했다.
"왜? 왜 그런지는 이야기했어?"
내가 묻는다. 그리고 내가 그때까지 평생을 살면서 힘을 가진 사람들에게 수없이 '왜'라는 질문을 해야 했던 것들이 떠오른다.
그리고 그와 함께 내가 납득할 만한 답을 한 번도 들을 수 없었다는 사실도 기억한다.
"원시인들이잖아. 그건 우리도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었고."
"말도 안돼! 그 사람 중 절반은 술에서 깨지도 않은 채 사무실에 들어오고...
학생들한테 추파나 던지면서... 그러면서 사고 나면 책임 못 진다는 말을 나한테 해?"
"진정해. 이게 현실이야. 그냥 임산부를 보고 싶지 않은 거야.
그리고 임신한 채 이 건물에 발을 들여놓은 사람은 당신이 처음이니까.
어떻게 해야 할 줄을 모르는 거야. 단순한 이유야."
- 랩걸, 본문 中 -
좋아하는 것에 열정을 바치는 삶은 아름다울 것이다. 그러나 그런 보람된 열매를 먹는 것조차도 제한된 구역의 일이다. 식물이 자라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어떤 식물은 자신의 힘으로는 설 수 없어 남의 줄기를 휘감으며 살아가는 방식을 택했고, 어떤 식물은 수십년의 세월동안 거의 죽은 것처럼 살다 부활하는 방식을 택하기도 한다. 원하는 길로 나아가는 방향이 달콤하고 찬란하기만은 할 수 없다는 것을, 이미 태초의 식물이 그녀보다 더 먼저 검증을 해주었다는 것이, 그녀에게는 위로가 되어주고 그것을 헤치고 나아갈 수 있게 만드는 버팀목으로 남았다.
나이도, 성별도, 그저 사랑하고 부딪치는 치열한 삶으로만 이겨내었던 한 과학자의 기록이 나이테처럼 새겨진 작품이 바로 호프 자런의 [랩걸]이다. 호프 자런이 이 책을 써내어 여성 과학자의 현실이 1cm도 바뀌지 않았다해도 괜찮다. 이 책은 오늘날을 위한 책인 동시에 미래를 위한 책이기 때문이다. 조금 더 나은 삶, 평등... 우리는 오랫동안 끊임없이 말하며 조금씩 바꾸어오지 않았는가. 이 책은 그러한 미래를 위해 생각할 여지를 주는 책으로 내게 기억될 것이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