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의 돈 공부 - 평생 돈으로부터 자유롭고 싶다면 20대에 돈 공부를 시작하라!
김성진 지음 / 카시오페아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년 전인가. 굉장히 안타까우면서 불쾌한 뉴스 기사 하나를 접했다. 20대 청춘들이 등록금을 벌기 위해 모아놓은 등록금을 털어 주식 투자를 해서 망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었다. 그 기사가 나를 슬프고 화나게 했던 이유는 많았다. 주식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지 못하고 한탕주의에 빠진 20대를 지적하며 그릇된 사고를 버려야한다는 의식으로 끝났다는 것이 첫번째요, 그들의 사례를 접한 수많은 네티즌들이 '그러길래 주식은 하지 말라고 주변에서 누가 안 그러냐'라는 식의 댓글을 달았다는 사실이 두번째였다. 뉴스에 나온 20대나, 기사거릴 쓴 기자나, 기사 속 어리석인 행동을 비웃으며 난 주식은 전혀 안할건데라고 자랑스럽게 얘기하는 이들이나 다 똑같은 부류들이다. 그들은 진정으로 경제를 모르면서 경제를 아는 '척'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돈공부라는 것은 그런 것이 아니다.



주식이라는 단어만 들어도 손사레를 치는 사람들이 많지만 나이가 들면 다들 한번씩은 주식에 발을 내디딘다. 이유는 간단하다. 월급으로는 도저히 생활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적금은 푼돈 이자도 안 나오니 갇혀있는 돈이라 생각된다. 로또를 사서 대박이 터지는 것은 인생 전부의 운을 다 털어도 될까말까한 벼락 행운인데 이런 거에 기대할까. 그럼 남는 건 펀드나 부동산을 본다. 부동산을 하기엔 그만큼의 기초자금은 없고. 주식으로 불려볼까하는 것이 보통 사람들의 생각이다. 그런데 이런 생각을 하는 당신은 주식을 제대로 공부하지 않는 경우가 다수다. 그런 마음으로는 절대 주식으로도 성공은 커녕 돈을 벌 수가 없다.



여기 고시원을 전전하던 20대 남자가 25살에 1억 원의 종잣돈을 만들고, 30살에 10억 자산가로 거듭난 이야기가 있다. [청춘의 돈공부] 저자의 실제 사례란다. 20대부터 경제 공부를 해야 한다는 저자의 조언은 귀담아 들어야 한다. 나이가 들어 돈을 충분히 벌고나서 그 때부터 들어가겠다고 하면 늦는다. 돈이 있건 없건 먼저 부딪쳐서 배우는 길을 추천한다. 공부라는 건 끊임없이 지켜보고, 정보를 얻고, 노하우를 쌓아가는 모든 행위이지 반드시 자금 투자를 하란 의미가 아니다.



[청춘의 돈공부]에 나오는 모든 방법을 100% 따라하는 일도 그다지 추천하지는 않는다. 남이 하는 방식을 그대로 따라한다고 저자처럼 될 수는 없을 것이다. 그 방법을 온전히 따라할 능력이 된다면 상관없겠지만, 필자가 귀찮은 사람인지, 부족한 사람인지. 따라할 수 있는 건 몇 개 안되었다. 하지만 그 방법만으로도 경제 생활이 나아지게 하는 데는 충분한 도움이 된다. 특히나 용돈을 30일로 나누어 일일 한도 용돈을 세우는 건 본받아야할 꿀팁이었다. 참고로 필자는 그 동안 일주일 단위로 용돈을 나누었다. 주단위보다 일단위가 좀 더 세세하게 돈을 관리하고 자신이 돈을 어디에 쓰는지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위 사진은 본 책에 나오는 자산 상태표의 작성사례이다. 사회 초년생의 경우, 일반 직장인의 경우가 제시되고 현금 자산표도 따로 보여준다. 한가지 안타까운 건 현금 자산 3백까지는 어떻게 동의한다 쳐도 부동산 3천만원이 사회초년생에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마음은 참으로 필자를 슬프게 하더라. 조금 더 현실적인 방안의 계획표가 나와있는 책은 아직 발견한 적이 없는데 아직 이 부분을 반영한 책이 나오지 않았다는 건 좀 안타깝다. 어찌되었든 20대 경제 공부의 시작인 자산 상태표를 써보고 자신의 자산 상태를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가져온 표이니 자신만의 양식으로 자산표를 만들어 보면 좋을 것이다.


주식을 하든 안 하든, 경제 관념이 있든 없든 한가지는 주의하자. 세상에 평온한 경제는 없다. 주식을 하지 않고 절약하는 것으로 평화로운 재정상태를 갖고 있을 거라 자신하는 사람에게도 위험은 닥친다. 절약하는 것만으로는 자산이 불기가 어렵다. 투자를 하는 것이 두려워 매번 피하면 돈이란 것과 친해질 수가 없다. 청춘들이여, 돈을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투자를 해라. 배우겠다는 겸손한 마음으로 돈이라는 것을 제대로 배워봐라. 필자도 주식을 어린 시절부터 배웠다. 돈을 많이 벌었냐고? 물론 아니다. 그럼 자산이 불었냐고? 아주 미미하게 불었다. 통장 이자보다는 낫지만 월급 만치도 안 되는 돈이다. 하지만 상관없다. 청춘의 시간에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쌓아올린 지식과 경험은 월급보다 나를 더 배부르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20대 청춘들이여. 투자를 두려워하지 말고, 긴 세월을 내다본다는 마음으로 돈 공부를 시작하기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