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30일생 소설NEW 1
김서진 지음 / 나무옆의자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존재하지 않는 날인 230. 그날에 태어난 한 여자가 살해당했다라는 광고에 얇은 귀가 솔깃했다. 주인공 은주의 잔인한 일탈을 담았던 선량한 시민을 읽고 차기작이 무척 궁금해지던 작가, 김서진의 책이어서 더 반가웠던 것 같다. 추리소설의 플롯을 따라가며 보여주었던 긴박감이 괜찮았었는데 이번에는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궁금해졌다.

 

우선 주인공 에 대해 소개를 해야겠다. 서른 중반의 나이에 임신한 와이프가 있고 방송국 조연출이라는 직업도 있다.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나 유학도 다녀왔고 남들의 시샘을 받기도 했다. 이랬던 내가 잠시 바람을 피웠다. 같은 프로그램의 작가였던 혜린과 사랑을 했고 아내에게 들켜 별거 아닌 별거중이다. 명망을 쌓은 할아버지의 방송 프로그램을 찍기 위해 내려갔던 고향에서 헤어졌던 혜린을 우연히 만난다.

 

나와의 이별을 빌미로 앙심을 품은 혜린이 자신을 쫓아 고향에 온 것으로 생각했다. 불같이 화를 내고 술에 취해 귀가했던 그날, 혜린이 죽었다고 한다. 강 하구에서 시체로 발견된 혜린. 술에 취했던 그날의 기억을 떠올리지만 필름이 끊긴 것인지 기억이 나질 않는다. 용의자로 몰린 나는 고향에서 혜린을 만났다던 사람들과 만나게 되는데 그녀가 쫓던 것은 내가 아니라 정만리라는 여자의 죽음이었다.

 

정만리의 죽음으로 시작한 비극은 또 다른 비극을 낳았다. 주인공 현재가 혜린의 죽음에 결백을 주장해도 과거에 얽혀있는 비극으로 자유로울 수가 없다. 과거부터 거슬러 오는 믿고 싶지 않은 진실을 덤덤히 받아들이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시간이 지나면 그냥 지나갈 것이라는 할아버지의 말에도 현재는 묵묵히 부정한다. 시작은 혜린의 죽음이었으나 결국엔 파국을 맞이하는 현재의 이야기다. 애초에 반듯하지(?) 못한 현재였으니 이것으로 벌을 받았다고 생각하면 되는 걸까.

 

흐르는 대로 몸을 맡겼을 뿐인데 어느새 마지막 책장을 넘기고 있었다. 개운하지 못한 결말이 만족스럽지 않아도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읽었으니 괜찮았던 책으로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전작보다 훨씬 강해진 미스터리소설의 면모는 더 좋았고, 반전을 거듭하며 시시각각 다른 색을 보여주는 묘미는 만족스러웠다. 그러니 차기작이 기대된다고 하는 건 당연한 결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