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삭이는 자 1 속삭이는 자
도나토 카리시 지음, 이승재 옮김 / 시공사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접한 건 꽤나 오래 전의 일이다. 도서관에서 대출도 여러 번 했고, 구입해서 보기도 하고, 읽어보려고 무던히도 애썼지만 끝내 10페이지를 못 넘기고 반납하거나 다시 책장 속으로 들어가기 일쑤였다. 숙제를 끝내고픈 간절한(?) 마음에 시작했는데 흡입력이 장난 아니다. 이런 책을 여태 왜 읽지 못했을까. 참 알 수 없는 일이다.

 

평화로운 소도시에 일주일 사이 다섯 명의 어린 소녀들이 사라진다. 구덩이 속에서 발견된 절단된 여섯 개의 왼쪽 팔 중 다섯 개의 왼쪽 팔은 사라진 소녀들의 것이었다. 아직 신고조차 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왼쪽 팔은 누구의 것일까. 범죄학자 게블러가 이끄는 연방경찰 행동과학 수사팀에 납치 전문 수사관인 밀라가 지원을 나오게 된다. 이후 소녀들의 시체가 하나씩 발견되면서 잔혹한 살인사건의 전말이 드러난다.

 

수사팀이 사건의 단서도 찾지 못하고 있을 때 어린 소녀들의 시체가 차례대로 발견된다. 정황증거도 없이 사건의 실마리를 찾아 헤매지만 발견되는 단서들로 다시 미궁 속으로 빠져든다. 날이 갈수록 팀원들끼리의 갈등도 잦아지는데 남은 시간동안 사건을 해결할 수 있을까.

 

구성이나 문장은 뛰어나다고 할 수 없다. 뜻밖의 반전은 좋지만 부드럽게 흘러가는 게 아니라 갑작스럽게 툭 튀어나오는 느낌. 하지만 원래 직업인 범지학자의 경력을 제대로 살렸다. 실화를 바탕으로 소설로 만들어내는 실력은 조금 어설퍼도 지칠 사이 없이 몰입하게 만든다. 이래서 자극적인 소설 읽기를 멈출 수가 없다. 나쁜 걸 알면서도 맛있어서 자꾸 먹게 되는 인스턴트 음식과 같다고 할까.

 

다 읽고 난 소감은 한마디로 쎄다’. 내가 밀라와 함께 범인을 쫓는 꿈까지 꿨다. 이러니 남아있는 여운과 후유증을 말해 무엇 할까. 이렇게 후유증을 동반하는 이야기는 다른 책들이 시시해지는 부작용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감수할만하다. 그만큼 강렬했고 깊이 빠져 들었다. 만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외면했던 시간이 미안해질 정도로 재미있게 읽었던 소설이다

 

p.102
죽음은 잔인하면 잔인할수록, 살아 있는 사람들을 묘하게 끌어당긴다. 한 구의 시체는 호기심을 발동시킨다. 죽음은 치명적인 매력을 지닌 여성과도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