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고 싶다 - 2014년 제10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이동원 지음 / 나무옆의자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에 세계문학상은 두 편의 장편 소설이 받았다. 현직 판사 출신의 작가가 쓴 보헤미안 랩소디와 군대 의문사를 다룬 살고 싶다’.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어느 정도 각오는 했다. 최근에 일어난 총기난사사건 때문에 시끄러운 이 때에 이런 책을 읽으려니 마음이 무거워져서 말이다. 제목에서 느껴지는 간절함이 너무 서러워 보여 그냥 지나치기 어렵더라. 쓸모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시작하다라는 문구가 의미심장하기도 했고.

 

훈련 중에 다친 무릎의 통증으로 제대로 된 군대 생활도 못하고 어정쩡한 상태로 지내고 있는 병장 이필립. 병원과 군대를 오가면서 지내다 보니 동기나 후임들과의 관계도 얕기만 하다. 그러다 정체불명의 남자로부터 광통으로 가라는 명령을 받게 된다. 광통에서 만나 친구가 된 선한이의 자살 소식을 알게 된 필립은 광통에서 선한의 죽음을 따라가며 생기는 의문을 풀어가는 이야기다. 그에 엮인 인물들의 궤적을 추적하기도 하고. 선한이가 자살로 생을 마감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어떻게 보면 한 인간을 죽음으로 몰고 간 폭력에 관한 이야기다. 군인이어도 같은 군인 신분이 아니었던 그의 위태롭고 고독했던 날들이 서럽게 다가오기도 하지만 많고 많은 선택지 중에 왜 하필 그것이었는지 쉽게 납득은 되지 않는다. 특정 집단에 속한 사람들만의 고독과 외로움이 생각보다 진한 밀도로 다가온다. 친구의 죽음을 두고 진실을 마주하기란 결코 쉬운 일도 아니고 아주 큰 용기를 필요로 한다. 선한이의 죽음에서 살고 싶다는 간절한 소망을 느꼈던 필립은 그래서 숱한 방해에도 굴하지 않았던 것이다.

 

군대라는 곳은 낯익으면서도 굉장히 낯설다. 지니고 있는 특수성도 굉장하고. 책 속에 등장하는 기무대가 뭔지 잘 몰라서 찾아보기도 했다. 헌병만 들어봤지 기무대가 무어냐. 국군병원이 주요 무대다. 군대 내무반의 실정도 잘 모르는데 거기라고 알 턱이 있을까. 그것만 아니었다면 무척이나 공감되었을 텐데 조금 아쉽다. 살짝 힘 빠지는 후반부도 그렇고. 하지만 세계문학상 수상작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으니 믿어볼 만하다. 그 믿음과 신뢰는 견고하게 쌓아 올려 무너질 줄 모르는 돌탑과도 비슷하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