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살아서 좋아 - 도시 속 둥지, 셰어하우스
아베 다마에 & 모하라 나오미 지음, 김윤수 옮김 / 이지북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시 속 둥지, 셰어하우스라는 부제가 달려있다. 요즘 종종 들을 수 있는 셰어하우스에 관한 책이다. 다만 일본에서 나온 책의 번역서라는 것. 무엇이 되었든 일본에서나 우리나라에서나 셰어하우스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는 건 사실이다. ‘share'의 사전에 나온 뜻은 나누다, 공유하다 뭐 그쯤인데 집을 공유한다는 개념으로 보면 된다. 기숙사나 고시원 같은 곳을 떠올리면 쉽다. 내가 보기엔 고시원 보다는 기숙사가 더 가까워 보인다. 개인적인 공간을 보장하면서 기타 공간을 다른 사람과 같이 쓰는 것이니까.

 

사람이 사는 곳 어디든 여러 가지의 주거 형태가 존재한다. 결혼과 출산에 대한 부담으로 1인가구가 늘어나면서 예전과는 확실히 다른 주거 형태가 많이 생겼다. 셰어하우스도 그 중의 하나인데 책 속에서는 여러 가지 장점을 어필하고 있다.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었고 책에서는 같이 사는 사람과의 돈독한 친목 도모로 외롭지 않다는 걸 크게 꼽았다.

 

그저 일상형 셰어하우스만이 아닌 그 속에서 또 다른 주거 형태를 보여주는 콘셉트형 셰어하우스나 컬렉티브 하우스, 가족이 모여 살고 코먼 하우스로 이어진 타운 하우스 형태의 셰어하우스도 흥미로웠다. 보다 발전된 셰어하우스의 모습으로서 새로운 또 하나의 주거 형태를 제시한다. 여러 가족이 사는데도 생활에 필요한 공간들이 독립적으로 유지되는 걸 보니 굳이 혼자 사는 것만 고집할 필요가 없어 보인다.

 

나를 잘 알고 있는 사람들과의 생활이 아니라서 서로 마음이 얼마나 잘 맞느냐도 중요한 요소다. 예전에 기숙사에서 2년 살아본 경험자로서 이건 필수불가결인 요소이다. 정말 백배 천배 공감되는 말이었다. 타인과의 즐겁고 쾌적한 삶을 위해 서로 피곤하지 않으려면 조금의 무신경함과 배려할 줄 아는 마음이 꼭 필요한 성격이라고 본다. 저렴한 비용은 장점이지만 개인적인 성향은 조금 버려야 넉넉하고 따뜻한 셰어하우스 생활이 될 것이다. 국내 사정과는 조금 틀려 보여도 셰어하우스를 고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 책이 작은 지침서가 되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