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님, 계십니까 - 사람이 그리울 때 나는 산으로 간다
권중서 지음, 김시훈 그림 / 지식노마드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조용한 산사를 찾다 보면 마음이 차분해지고 복잡했던 머릿속이 말끔히 정리되는 느낌이 좋아 자주 찾는 편이다. 믿음이 중요한 게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서슴없이 절이든 성당이든 가까운 곳에 있으면 무작정 찾아 가는 편. 유독 나들이를 좋아하시는 엄마의 등살에 떠밀려 어쩔 수 없이 끌려가곤 하지만 넓게 펼쳐진 풍광에 넋이 나갈 정도로 좋았던 적이 많아 두말없이 따라나서곤 한다. 목차를 보니 가까운 곳에 위치한 용주사도 있고 가족 여행 중에 들려본 내소사도 있고 내남자와의 특별한 여행 중에 만났던 부석사도 있고 언제 가도 너무나 좋은 백담사도 있고. 생각보다 가 본 곳이 많아 뿌듯해진다.
어느 사찰을 가든 사찰의 역사 등을 기록한 커다란 팻말(?)이 입구 쪽에 항상 자리 잡고 있다. 당당히 자리를 잡고 있어도 그것을 눈여겨보는 사람은 많지가 않다. 풍광에 시선이 빼앗겨 무심코 지나치기 일쑤인 그것이 이렇게 궁금해지고 그냥 지나친 게 후회되기는 처음이다. 역사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들은 흥미롭지만 워낙 알고 있는 게 미미해서 검색도 해가며 열심히 찾아봤다. 책을 통해 숨겨진 이야기들을 접하게 되니 다녀왔던 곳도, 앞으로 가 볼 곳도 특별해지는 기분이다. 종교인만이 드나들 수 있을 것 같았던 위화감이 사라지고 친근하게 느껴져 꼭 가 본 것처럼 눈앞에 선명하게 그려진다.
백석을 사랑했던 김영한의 절절한 사랑이 함께 한 길상사와 고요한 전나무 숲길의 내소사가 기억에 남는다. 내소사의 화려하지 않아도 단아하고 청초한 멋이 눈길을 사로잡는 대웅보전과 문짝에 새겨져 있던 꽃무늬 문살은 아직도 생생한 기억이다. 담아두었던 기억 한 자락을 꺼내보게 만드는 아릿한 책. 누구에게나 다 그러지는 않을 테지만 유독 나에게는 그렇게 다가왔다.

제일 뒤쪽에 이런 글이 있다. ‘25곳의 산사 중 얼마나 가보았는가? 그리고 머릿속에는 어떤 이야기가 남아 있는가?’ 얼마만큼 가본 게 중요하지 않다. 물론 가봤던 절의 이름이 나오면 뿌듯해지고 아름다운 풍광이 생각나 잠시 기억을 더듬는다. 하지만 어떤 이야기가 남아 있는가라는 물음에는 선뜻 대답을 할 수가 없다. 여태 아무 생각 없이 그냥 놀러 다녔나하는 생각에 뼈아픈 반성도 했고 사찰의 숨겨진 이야기들과 건축 이야기를 들으며 즐겁기도 했다. 이젠 어느 사찰을 가더라도 조금 다른 시선에서 볼 수 있을 것 같다. 덕분에 돌 하나, 나무 하나 다르게 보이니 한층 높아진 수준을 어떻게 감당할까 싶지만 언제 찾아도 좋은 곳임은 분명하니 열심히 다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