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씨앗
이화 지음 / 신영미디어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맞선으로 만난 문교와 서주. 조건에 맞는 결혼이라는 논리에 이들은 함께하기로 한다. 조건뿐인 결혼에 감정이 섞이기에 힘든 나날들이다. 7년 전 서주와의 찰나였던 만남을 기억하고 있는 문교. 문교는 서로 가까워지기 위해 서주에게 두 달의 유예 기간을 준다.

 

우연히 평생 하고픈 사람을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하기까지의 그 과정들이 참 소중하고 특별하다. 과거 문교와 서주의 찰나 같던 우연한 만남이 있었다 하더라도 이들에게 결혼은 높은 벽에 불과했다. 문교 혼자 살짝 꺼내본 아릿했던 기억은 서주에 대한 호감을 불러 왔을지 몰라도 결혼이란 벽을 넘기에는 힘에 부쳤을 거다.

 

서주의 집에서 문교와 함께했던 시간은 이들에게 사랑의 씨앗을 움트게 했고, 그 시간들이 모여 열매를 맺게 했다. ‘성북동이라는 무대가 이들의 사랑이 뿌리 내리기엔 더 없이 알맞은 공간처럼 느껴진다. 곳곳에 숨어 있던 성북동의 명소 찾기는 또 하나의 즐길 거리천천히 한 걸음씩 내딛게 되는 문교와 서주의 이야기는 다 좋았지만 서주 엄마의 과거는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꼭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었던 것 같은데 너무 과하지 않았나 싶다. 영화 맘마미아의 오마주도 아니고.

 

차분한 여자와 담담한 남자가 만났으니 이야기는 더 없이 잔잔하게 흘러간다. 잔잔한 만큼 마음을 울리는 세기도 비슷해야 하는데 문교와 서주는 사정없이 마음을 두드려댄다. 한 발짝 떨어지면 그만큼 따라가게 만들어야 되는데 조급해져오는 마음에 두 발 앞서게 만들기도 한다. 두근거리는 마음에 조급증이 일어 성급하게 책장 넘기기에 바빴어도 기분만큼은 성북동 거리에라도 놀러 나간 듯 편안했고 설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