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알사냥꾼
제바스티안 피체크 지음, 염정용.장수미 옮김 / 단숨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편견이라면 편견일 수도 있고, 선입견이라면 선입견일 수도 있겠다. 편견이든, 선입견이든 개인적으로 독일 스릴러에 좋지 못한 감정이 있다. 동서남북 유럽 어디라도 나와 이렇게 맞지 않는 나라의 소설은 없었는데 유독 독일만 그런다. 나와 맞지 않아, 별다른 재미를 느끼지 못해 이쪽 나라 스릴러 소설에는 관심조차 없다는 게 정답일 거다.

 

사실 <눈알사냥꾼>의 전작인 <눈알수집가>를 읽었다. ‘사이코스릴러라는 자극적인 단어에 홀려 읽었지만 생각보다, 기대보다는 별로였나 보다. 강렬했던 표지 이미지만 기억 속에 남은걸 보면. 기대치가 한참이나 내려간 상태에서 시작해보니.... 웬걸. 전작을 띄엄띄엄 읽은 것도 아닌데 어쩜 이렇게 다를 수가 있을까. 친절한 출판사의 배려로 시작 부분에 <눈알수집가>의 대략적인 줄거리가 요약되어 있어서 금방 기억을 떠올릴 수 있었다.

 

줄거리를 간단하게 요약하는 것조차 큰 스포일러가 될 것 같아 간단하게 정리해 본다. 전작에서 납치된 아들을 찾기 위해 동분서주하던 초르바흐. 미래를 볼 줄 아는 시각장애인 알리나. 그리고 안과의사 차린 주커 박사. 신뢰하기 힘든 이들의 관계로 점점 악의 그늘은 드리워진다.

 

쉴 틈 없이 독자를 들었다 놨다, 정신없게 만든다. 계속되는 반전으로 머리가 멍할 정도.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게 될지도 모른다. 의도처럼 보이기도 하는 조금 산만한 편집은 단점으로 작용하지만 몰입하게 만드는 힘은 대단하다. 자극적인 사이코스릴러라는 문구가 완벽하게 맞아 떨어져 잔인하지만 눈 감고도 보게 만드는 공포영화처럼 뒤가 궁금하게 만든다. 애초에 동기 없는 살인이 목적인 사이코패스 소설이니 그럴 만도하다.

 

아무리 잔인한 장면에 면역이 되었다고 해도 익숙해지지 않는 게 딱 하나 있다. 바로 눈을 범죄에 이용하는 것들인데 이건 아무리 봐도 오소소 돋는 소름은 피할 수 없다. 이 소설을 읽기 전에 가급적이면 서평이나 출판사 보도 자료는 보지 말고 시작했으면 좋겠다. 보면 볼수록, 읽으면 읽을수록 재미가 반감될 것 같으니까. 독일 스릴러에 대한 편견을 조금 옅어지게 만들어준 고마운 책이다. 앞으로 출간될 작가의 책이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