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황하는 칼날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바움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아내를 잃고 딸과 함께 소소한 일상을 누리던 나가미네. 불꽃놀이를 구경 간 딸이 돌아오지 않고 있는데 며칠 후 뉴스에서 떠들던 강물에 떠오른 시체가 자신의 딸이었다. 딸의 죽음에 슬픔에 잠겨 있던 나가미네에게 도착한 음성 메시지에는 딸을 죽인 범인들의 이름과 주소가 남겨져 있었다. 나가미네는 그 집을 찾아가고 우연히 보게 된 비디오테이프에는 딸 에마의 모습이 찍혀 있는데 그 장면이 실로 충격적이다. 딸을 죽음으로 몰고 간 범인들에게 복수심을 품고 되는데...
사회의 정의 실현은 꼭 필요하다. 이제는 개인보다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정의 실현을 하고 있는 시대다. 이런 때에 개인적인 복수심으로 행한 살인이 결코 정당화 될 수는 없지만 누가 이 아버지에게 돌을 던질 수 있을까. 답답한 현실에 입맛이 쓰다. 갱생만을 목적으로 한 소년법에는 화가 나고, 딸을 잃은 슬픔에 비통에 잠긴 나가미네는 한없이 불쌍하고. 슬프고, 아프고, 복잡한 감정들이 교차된다.
히가시노 게이고. 요즘은 이 이름에 대한 믿음이 조금 덜하지만 일미가 한참 부흥하는 초기 때엔 이름만으로 어느 정도 먹히던 때도 있었다. 워낙 다작하는 작가이다 보니 작품들의 갭은 있어도 지금보다는 확실히 이쯤에 나온 책들이 재미있다. 바람 불면 훅하고 날아갈 것 같이 마냥 가벼운 소설이 아닌 묵직하고 여운도 많이 남는다. 다소 민감한 사회 문제에 끌어와 작가 특유의 필력으로 풀어내는 솜씨 또한 볼만하고. 이렇게 차근차근 애정을 쌓아 온 작가라 그런지 요즘 보여주는 모습에 실망도 하는 거겠지.
날카로운 시선으로 민감한 사회 문제에 서슴없이 들이대는 차가운 칼날은 섬뜩하다. 비통한 나가미네의 모습이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는 것도 다 그 때문일 테다. 작가를 향한 믿음은 또 이렇게 샘솟는다. 애정이 애증으로 변하지 않을까 걱정도 되지만 그래도 믿어 보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