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닥터스
베른하르트 알브레히트 지음, 배명자 옮김, 김창휘 감수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책을 읽기 전에 ‘의사’라는 직업에 대해 평소 어떻게 생각했는지부터 짚고 넘어가야겠다. 솔직히 의사에 대해 불신이 깊은 편이다. 나 아플 때 치료해주는 고마운 사람이라는 건 안다. 하나같이 권위적이고 건성으로 대하는 그들의 모습이 아주 친근할 뿐이다. 모든 의사가 그렇지는 않을 테지만 그런 모습들이 대부분이라 생긴 불신이다.
작년이었던가. ‘해나의 기적’이란 다큐를 본 적이 있다. 선천적으로 기도가 없이 태어난 해나는 얼마 살지 못할 거라는 의사들의 진단을 받았다. 하지만 해나는 기도 대신 입에 대신 낀 튜브로 꽤나 오래 생명을 유지했다. 그런 해나의 수술을 위해 유럽에서, 미국에서 물심양면으로 도와주는 의사들을 보면서 생경함을 느꼈다. 한 생명 앞에 모든 것을 초월한 의사들을 보면서 아직도 저런 게 가능하구나하는 생각도 들었고.
‘생존 확률 0퍼센트에 도전한 의사와 환자들의 이야기’라는 부제에 끌렸다. 책 속에는 9가지의 사례들이 들어 있다. 환자가 그런 상황에 닥치게 된 사유부터 환자의 치료를 위해 고군분투(?)하는 의사의 이야기까지 작가가 재구성한 사례들은 한 편의 드라마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저 여러 가지 사례들을 나열하고 설명한 게 아니라 내밀한 그들의 심리까지 파악한 작가의 세심한 배려에 놀라기도 했다.
위급한 생명 앞에 기적을 바라지 않는 사람은 없다. 직업이 의사인 그들도 기적을 바랄까 하는 뿌리 깊은 불신이 어느 정도 옅어지는 느낌이다. 평범한 우리처럼 그들도 간절하게 원하는 것이 기적이다. 생명 앞에 누구나 숙연해지는 마음은 다 똑같은가 보다. 책 속의 사례들이 좀 특별한 경우라고 하여도 긴박한 상황 속에 치열한 그들의 모습은 정말 간절해 보였으니까.
치료에 앞서 의사와 환자의 신뢰는 무척 중요한 요소다. 의사라는 사람에게 불신 깊은 요즘처럼 이런 책은 참 다르게 다가온다. 어쩌면 이럴 때에 정말 필요한 책인지도 모른다. 단순히 직업 중에 하나인 ‘의사’가 아니라 생명을 다루는 신성한 직업임을 그들도, 우리도 다시 깨우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거라고 생각한다. 매 순간 기적이 일어나지 않아도 환자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분명 아니까 이 불신도 언젠가 사라지는 날이 오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