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저어
소네 게이스케 지음, 권일영 옮김 / 예담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작가가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 되었던 책이 단편집 <>였다. 입소문에 한 번 펼쳐 들었다가 취향 탓인지 그 때의 컨디션 탓이었는지 읽다가 덮은 책이었다. 이후 까맣게 잊고 지내다 작가의 첩보소설이라는 소리에 호기심이 동했다. 첩보소설의 참 맛을 느끼기에는 아직 내공이 많이 부족하다 생각하지만 얼마 전에 읽었던 요시다 슈이치의 <태양은 움직이지 않는다>가 너무 재미있어서 다른 작가의 책도 읽어 보고 싶어졌다.

 

우선 침저어의 뜻을 알고 가야겠다. 사전을 뒤져도 온전한 뜻을 가진 단어는 아니다. ‘침저저어의 합성어로서 책에서는 첩보 대상국의 시민으로 살며 명령을 받았을 때만 활동하는 공작원을 가리키는 은어로 쓰인다. 일본 내 현직 국회의원이 중국의 첩보원이라는 정보가 신문에 공개되고 경시청 외사2과의 형사들은 혼란에 휩싸인다. 정보의 사실 유무 확인 차 본청에서 급파된 도쓰이가 현장 지휘를 맡게 된다.

 

침저어를 밝히기 위한 단서를 수집하기 위해 나서지만 생각만큼 뚜렷한 증거가 없다. 희미한 단서를 쫓다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된 사람은 차기 총리로 확실시되는 아쿠타가와 겐타로. 후와는 아쿠타가와 겐타로의 행적을 쫓다 그의 비서관인 이토 마리의 실종 사건에 집중하게 된다.

 

첩보전의 매력을 꼽자면 고도의 심리전과 복잡한 이해관계가 아닐까 생각한다.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문장은 좋았지만 이들의 속고 속이는 첩보전을 표현하기엔 너무 깔끔하지 않았나 싶다. 첩보소설이기 보다는 경찰소설에 더 가까워 보인다. 일본, 중국, 미국 세 나라가 사활을 걸고 첩보전에 임하고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지는 못했다. 적인지 아군인지 구분해내는 것에만 너무 집중한 것 같기도 하고. 그래도 첩보소설 특유의 긴장감은 살아 있어서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었다. 하드보일드한 느낌도 좋았고.

 

정보에 의한 첩보전은 속고 속이는 치열한 싸움이 전부라고 할 수 있다. 몸을 내던지는 액션이 없어도 치밀한 두뇌 싸움으로 충분히 만족스러워지기도 한다. 깜짝 반전 또한 재미를 더하는 요소가 되기도 하고. 첩보소설의 매력을 마음껏 느낄 수는 없었어도 살짝 발을 담갔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 싶다. 앞으로 작가의 어떤 작품으로 또 만나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다음 작품에서도 색다른 재미를 선사해준다면 기꺼이 만나 볼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