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풍론도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권남희 옮김 / 박하 / 201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히가시노 게이고는 이름 하나로 책에 대한 기대를 무한 상승시키는 작가 중에 하나라고 생각한다. 공장에서 찍어내듯 엄청난 다작을 하는 작가이긴 하나, 가끔 보여주는 따뜻한 감성의 글은 장르를 불문한다. 이 겨울에 무척 어울릴만한 신작이 출간되었다. 설원 위의 짜릿한 스릴러물처럼 보여서 반가운 마음은 두 배.

 

스키장의 인적이 드문 곳에 구덩이를 파고 의문의 상자를 파묻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상자가 묻혀 있다는 표식으로 나무에 발신기가 담긴 테디베어 인형을 걸어놓고 사진을 찍는 구즈하라. 상자가 숨겨진 장소를 찍은 사진과 3억 엔을 요구하는 메일을 보낸다.

 

상자 속에 숨겨진 의문의 물체는 탄저균을 유전자 조작한 생물병기 ‘K-55’. 연구소 내에 은밀하게 숨겨둔 K-55가 사라지게 된 것을 알게 된 가즈유키. 그것을 찾기 위해 가즈유키가 평소 스노우보드를 좋아하는 아들 슈토와 함께 스키장에 도착하면서 이야기는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사진 몇 장으로 똑같은 현장을 찾기는 매우 힘들어 보인다. 사라진 K-55를 찾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두 사람. 시간이 갈수록 사건과 밀접한 관계에 놓이는 사람들이 자꾸 늘어나고 이들은 K-55가 숨겨진 테디베어가 걸려 있는 나무를 무사히 찾을 수 있을까.

 

설원 위가 무대의 배경이다. 하얀 눈이 가득한 스키장이라 함은 제법 추울 텐데 책 속 분위기는 생각만큼 춥지 않다. 분위기나 배경 묘사, 심리 표현 등이 뭉텅뭉텅 잘린 느낌. 필요 없는 부분은 최대한 배제하고 아주 진한 엑기스만 짜내어 보여준 것 같다. 그래서 깃털처럼 가벼워졌다.

 

쫓고 쫓기는 추격전은 볼만하다. 히가시노 게이고식의 반전처럼 느껴지지만 반전도 나쁘지 않다. 마음에 쏙 들지 않는 이유는 너무 많은 기대를 한 탓이라고 생각하고 싶다. 작가의 이름만을 생각하고 읽는다면 솔직히 조금 실망할지도 모른다. 어떤 장르에서든 기본은 하는 작가라고 생각했는데 그 믿음이 너무 과했던 것 같기도 하다.

 

사족이지만 사람 많고 좁아터진 열악한 국내 스키장만 다녀본 사람이라 소설 속에 스키장이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더라. 아무튼 그동안 쌓아왔던 믿음이 있기에 외면하기 힘들고, 외면할 수 없는 작가다. 배신이라고 느껴질 정도는 아니지만 일본에서 100만부가 팔렸단 소리가 무색해질 정도로 실망 아닌 실망을 한터라 아쉬운 마음이 들기는 한다. 하지만 기대를 쉽게 저버릴 작가가 아님을 알기에 또 기다린다. 아쉬움을 화끈하게 날려줄 다른 작품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