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드맨 데드맨 시리즈
가와이 간지 지음, 권일영 옮김 / 작가정신 / 201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에는 머리만 없는 시체가 발견되었다. 그 다음에는 몸통, 다음에는 손이나 발만 없어진 시체들. 여섯 번의 연쇄 살인사건이 일어난 도시는 혼란 그 자체다. 치밀한 계획 아래 살인을 저지르는 범인을 잡기 위해 형사 가부라기와 동료들은 머리를 맞댄다. 발견된 몇 가지의 증거만으로 가설을 세워보지만 사건은 점점 미궁 속으로 빠져 든다.

 

누군가를 향해 분노를 터트리는 글로 <데드맨>은 시작한다. 사건 수사가 진행될수록 형사 외에 등장하는 또 하나의 인물. 자신이 죽었다고 생각했으나 죽지 않았다고 하는 이 사람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 이 사람의 등장으로 연쇄살인사건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을까.

 

각기 다른 사람의 신체 부위를 잘라 새로운 인간을 만들어낸다는 게 과연 가능한 일일지 모르겠지만 시마다 소지는 <점성술 살인사건>에서 아조트라는 개체를 탄생시켰다. 아조트의 실현 가능성과 불가능을 떠나 독자들은 그 이야기에 흠뻑 빠져 들었고 작가의 트릭에 속은 건 분명한 사실이다. 작가는 <데드맨>에서 아조트의 모티브를 따와 완전히 새로운 이야기를 탄생시켰다.

 

책을 읽을 때 내 몸의 컨디션에 따라 재미의 강도가 틀려진다고 생각한다. 얼마만큼 집중을 하느냐의 차이다. 황금 같은 주말 감기 기운으로 몽롱한 정신에 읽었던 책이었다. 그 정신에 글자가 눈에 들어올 리가 없는데 책장이 자꾸 넘어간다. 빠른 스피드로 몰입하게 만드는 힘은 신인 작가의 글이라고 생각하기 힘들게 만들었다. 이 정도면 굉장히 강렬한 데뷔작이라고 할 만하다.

 

어쩌면 뻔해 보이는 이야기일지도 모르겠다. 개연성이 조금 부족해 보이기도 하고. 하지만 뻔해 보이는 이야기를 뻔해 보이지 않게 만드는 것도 실력이다. 거기에 재미까지 더했으니 더 이상 말해 무엇 할까. 새로운 작가의 작품을 만나는 건 언제나 설레는 일이다. ‘가와이 간지라는 필명 외에 알려진 게 많이 없는 작가에 대한 호기심과 차기작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 시키는 건 <데드맨>이 독자들의 기대만큼 결과를 충족시켰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책 읽기 전에 뒤표지의 꼭지 글은 읽지 말아 달라고 당부하고 싶다. 스포가 있는 글은 아니지만 소설의 재미가 반감될 수도 있으니까. 감기 기운으로 몽롱했던 정신을 번쩍하게 해주었던 <데드맨>. 어쩌다 일본 소설만 주구장창 읽고 있는 요즘인데 그 중에서도 가장 임팩트 있던 소설이 아니었나 싶다. 본격도 아니고 사회파라고 말하기도 좀 힘들고 애매한 포지션의 소설이지만 무엇이 되었든 재미와 스피드만큼은 누구한테도 뒤지지 않는 소설임은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