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아들 창비세계문학 2
리처드 라이트 지음, 김영희 옮김 / 창비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흑인 빈민가에 살고 있는 비거 토머스. 희망도 없고 미래도 없는 일상에서 절망하며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어느 날, 흑인들에게 기부를 일삼아 오던 부유한 백인 돌턴씨의 호의로 그 집의 운전기사로 일하게 된다. 면접날 돌턴씨의 부탁으로 딸인 메리 돌턴의 등굣길에 함께 하지만 메리는 학교로 향하지 않고 남자친구인 잰을 만나러 간다메리의 남자친구 잰은 공산주의자다. 여태 알고, 만나오던 백인들과 다른 사고방식을 가진 잰은 비거에게 상대하기 힘든 사람이다. 급기야 비거는 잰과 메리와 함께 저녁 식사까지 하게 되고 술에 취한 메리를 방으로 옮기다 우발적인 살인을 저지른다.

 

이 소설은 1940년대에 나왔다. 지금이야 많이 변했지만 그 시대에 이런 소설은 정말 도발로 밖에 생각할 수밖에 없다. 백인과 흑인. 피부색이 틀리다는 이유로 멸시하고 차별하던 시대였으니. 흑인 비거의 내면에 숨어있는 두려움은 감히 상상하기도 힘들다. 글 속에서 여실히 느껴지는 비거의 두려움은 시대를 대변한다. 똑같은 인간인데 피부색에 따라 죗값이 틀려지고 흑인의 시체는 백인의 살인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한낱 증거에 불과하다. 피부의 색깔이 결코 기득권이 될 수가 없음에도 그들은 서슴지 않는다. 시대가 많이 변해 지금은 차별의 강도가 많이 옅어졌다고 하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선가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피를 끓게 하는 이들의 분노가 사그라질 날이 과연 올 수 있을까.

 

인종 차원을 넘어 피부색으로 대변되는 강자와 약자에 대한 차별에도 일침을 가한다. 장장 35쪽을 차지하고 있는 비거의 변호사 맥스의 변론은 이 소설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책 뒤쪽에 실린 작가연보에서 나와 있는 것처럼 흑인이란 이유로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보지 못했던, 작가가 직접 겪고 느꼈던 상처를 맥스를 통해 드러낸다.

 

1940년대의 미국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시대를 잘 몰랐던 게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용해서 나에게는 조금 어려운 이야기였다. 그들의 분노가 비수가 되어 마음을 아프게도 했고. 배경이나 감정적으로 버겁게 느껴져 끝내기까지도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시대의 고전을 만날 수 있던 시간은 고맙고 뿌듯하다. 내공을 필요로 하는 이야기를 더 이상 외면하면 안 되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시대의 문제작이 고전의 반열에 오르기란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약자를 대변하는 흑인의 시각으로 풀어낸 그 시대의 이야기는 고전에 불릴만한 이유는 충분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