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파일러 표창원의 사건 추적 - 한국 사회를 뒤흔든 희대의 사건을 파헤치다
표창원 지음 / 지식의숲(넥서스)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날로 강력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뉴스에서만 들을 수 있었던 범죄들이 지금 내 옆에서도 당장 일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누구나 잠재적 피해자로서 범죄를 염두에 두고 산다. 피부로 느낄 수 없어 실감을 하지 못할 뿐이다. 범죄 수사와 관련해서 여러 권의 책을 읽었지만 솔직히 와 닿는 얘기가 없었다. 물론 과학적인 수사를 통해 사건 해결의 통쾌함은 좋았지만 그저 사건들을 모아놓은 사례집처럼 보인 것도 사실이었다. 그런데 이 책은 다르게 다가왔다.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던 굵직한 범죄 유형들을 기반으로 한다. 구체적인 사건 개요와 피해자의 심경이나 법제도의 미흡한 부분 등 일반인들이 자세히 알기 힘든 부분들도 차근차근 알려준다. 그리고 책에서는 범죄 예방이 얼마나 중요한가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범죄 예방보다는 처벌에 중점을 둔 후천적인 우리나라 법제도에 대한 따끔한 지적은 망설임이 없다. 비슷한 범죄들이 자꾸 생기는 이유도 구멍 뚫린 제도에 문제가 있다. 불편한 얘기지만 꼭 필요한 얘기라고 본다.
드라마나 다양한 컨텐츠를 통해 과학수사에 대해 많이 알려지면서 범행수법이 날로 정교해진다. 덩달아 증거를 통한 범인 찾기도 힘들어졌다는 걸 많은 사람들이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가해자 뒤에 가려진 피해자의 고통을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처벌만 중요시하는 태도가 그런 현상을 만든 것도 같다. 가해자가 처벌을 받는 것처럼 피해자들도 분명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 피해자들의 고통 회복을 도울 수 있는 제도가 꼭 마련되었으면 좋겠다.
워낙 범죄 수사를 다룬 책이나 드라마를 좋아해서 어느 정도 면역은 되어있다 생각했는데 역시 사실적인 사건을 마주하는 건 괴로운 일이다. 대구 지하철 방화사건 피해자들의 마지막 문자들은 결국 울컥하게 하더라. 뛰어난 몰입감은 장점이지만 이런 책이 재미로만 읽혀서는 안 된다. 과오를 들춰내고, 깨달아야 똑같은 실수를 하지 않는 것처럼 법제도의 모순과 미흡한 부분을 자꾸 개선해서 우리에게 꼭 필요한 범죄 예방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최근 아동 성폭력에 대한 공소시효와 친고죄를 폐지한 법 개정처럼 강력 범죄 예방책은 꼭 필요하다.
마침 뉴스에서 한참 떠들던 ‘인천모자실종사건’의 어머니 시체가 발견됐다. 작은 아들을 용의자 선상에 올리면서도 뚜렷한 증거가 없어 이미 풀어준 상태였는데 시체가 발견되면서 다시 범인으로 지목되었다. 가족이 살인자로 변하는 건 순식간이다. 이처럼 보통 사람들도 범죄의 그늘에서 벗어날 수 없다. 사회적으로 범죄 예방책이나 대책들이 준비되어 있어 안심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가 못하다. 당장은 답답한 현실이라도 이러한 문제를 직시하고 있는 것도 잠재적 피해자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