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컵을 위하여
윌리엄 랜데이 지음, 김송현정 옮김 / 검은숲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미국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고 하는 윌리엄 랜데이의 <제이컵을 위하여>. 곤걸만큼 소문만 무성했던 소설이라서 궁금했다. 개인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했던 곤걸이라서 처음의 기대는 다소 반감되었지만 그래도 궁금한건 참을 수 없으니까. 반감된 기대, 지루할 것만 같은 법정 스릴러라는 장르, 빡빡한 편집과 책의 두께 등 여러 이유로 걱정이 앞섰지만 읽다 보니 그 걱정은 어느새 사라져버렸다.

 

열네 살 제이컵의 아버지 앤디 바버는 매사추세츠 뉴턴 시티의 지방검찰청의 차장 검사다. 어느 날 공원에서 살인 사건이 발생하고 살해된 아이와 같은 학교 친구였던 제이컵이 용의자로 몰려 기소된다. 그 일로 앤디는 검사직에서 물러나게 되지만 제이컵의 무죄를 확신한다. 세대를 걸쳐 내려온 폭력적인 유전자의 진실이 드러나고 제이컵을 변호하며 알게 된 숨겨진 아들의 모습은 앤디를 당황스럽게 만들지만 아들과 아내를 위해 결코 흔들리는 일은 없어야 된다.

 

친구를 살해한 용의자로 기소되면서 법정 싸움이 시작된다. 지방 검사 출신의 작가의 내력으로 써내려간 리얼하고 세밀한 법정 싸움은 압도적이다. 일부러 생각하지 않으려 해도 머릿속에 그대로 그려질만큼 조용한 법정은 생생하게 살아있다. 어디 압도적인 법정 싸움뿐이랴. 제이컵이 진짜 살인자인지 아닌지를 떠나 마음속에서 한 번 돋아난 의구심 때문에 겪게 되는 한 가족의 몰락도 잔인하리만치 서서히 진행된다. 무참히 부서지는 가족의 모습은 처절하다.

 

제이컵과 앤디와의 만남이 사실처럼 느껴지면 만약이라는 말이 한번쯤은 생각난다. 만약 내가 앤디와 같은 상황에 놓여있다면 가족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생각이 많아지는 소설이다.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 모든 걸 희생해야 한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세상이 많이 변한 것처럼 가족이란 관계도 분명 변했다. 그래도 우선은 '믿음'이 바탕에 깔려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게 있어야 가족을 위해 무엇을 하든 안하든 가족이란 이름으로 지켜줄 수 있기 때문이다.

 

컨디션 난조로 몰입을 하기 힘들었다. 몇 페이지 읽다가 덮고를 반복하다 보면 아무리 재미있는 이야기여도 절대 재미있게 읽히지가 않는다. 그런데 이상하게 잘 읽히고 재미도 있다. 화려한 액션이나 볼거리가 가득한 소설은 아니지만 쫄깃해진 심장을 느낄 수 있다. 물론 앞의 기나긴 이야기가 무색해질 정도로 짧은 결말은 정말 놀랄만하다. 그렇다고 결말만을 위한 소설은 아니다.

 

비슷하지만 다른 쿡선생의 <붉은 낙엽>보다 훨씬 재미있게 읽었다. <붉은 낙엽>은 아버지의 가슴에 사무치는 슬픔이 좋았다면 <제이컵을 위하여>는 살아 있는 서스펜스가 좋았다. 최근 읽은 스릴러 소설중에 가장 만족스럽다. 좋지 않은 컨디션과 이도 저도 아닌 이야기들에 지쳐가던 중에 만나서 그런건지도 모른다. 아무튼 책을 다 읽고 앞으로 다시 돌아가게 만든다면 재미있게 읽었다는 증거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