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이틀 미스티 아일랜드 Misty Island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 들녘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는 아내를 죽인 카지 소이치로 경감. 아내를 목 졸라 죽인 혐의를 모두 인정하고 자수를 한다. 촉탁살인임이 밝혀지지만 자수하기까지의 이틀에 대한 공백은 입을 굳게 다문다. 과연 카지 경감의 사라진 이틀에 대한 진실을 밝힐 수 있을까. 처음부터 아내를 죽이고 자수한 남편이 등장하고 차츰 진행되는 수사를 각기 다른 곳의 시선으로 잡아낸다. 경찰을 시작으로 검찰, 언론, 법정, 교도소까지 한 사건에 복잡한 이해관계로 꼬인 사람들에게서 사라진 이틀에 대한 의문을 풀어간다.

 

일반적인 미스터리 소설의 진행 방식을 따라가지 않는다. 소이치로의 경감이 아내를 죽이고 나서 행방이 묘연했던 이틀에 대한 수수께끼만 풀어내는 것이 아니다. 조직간 벌어지는 알력 싸움도 틈틈이 등장하면서 긴장을 고조시킨다. 그 알력 싸움으로 수사 방향이 길을 잃고 앞을 내다 볼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요코야마 히데오의 소설에서 볼 수 있는 전개다. 하나의 사건에 집중하기 보다는 그 사건에 얽혀 있는 여러 명의 사람들에게 집중함으로서, ‘라는 의문은 차치하고 인간의 내면을 세밀하게 들여다본다.

 

다 좋았지만 전부를 이해하는 건 아니다. 그건 일본과 우리나라의 문화(?)차이 같다. 우리나라는 사건이 터지면 에 의문을 품고 그것에 초점이 맞춰진다. 사건 이후의 관심은 범인에게 무슨 일이 생겼을 때나 생긴다. 하지만 <사라진 이틀>에선 사건 후의 공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범인이 자수했으면 됐지, 그 이틀의 공백은 굳이 왜 알려고 할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죗값의 기준은 범행 사실로 결정되는 것이니까. 여기서 차이가 생긴다. 깊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도 아마 이것 때문이 아닐까.

 

역시나 등장인물이 많다. 메모지에 인물관계를 정리하며, 메모해가며 읽었다. 포스트잇 크기의 메모지로는 어림도 없다. 조직과 사람을 중심으로 글을 쓰는 작가라서 그렇다. 단순하면 참 좋을텐데 단순해지면 재미없을 것 같은 이상한 느낌. 이야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그에 걸맞는 이야기를 쓰는 작가 같다. 스케일이 크면 큰대로 작으면 작은대로 무리 없이 이야기를 풀어내는 능력은 탁월하다. 거장의 힘을 느꼈던 <64>만큼의 재미는 느끼지 못했지만 <사라진 이틀>만의 재미를 느끼기엔 부족하지 않다. 필요한 사실들만 추려내는 미스터리 소설이 아닌 솔직하고 인간적인 소설을 쓰는 작가라 좋다. 요코야마 히데오를 좋아할 이유는 그거 하나로 충분한 것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