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년 3개월. 긴 시간 독자들을 기다리게 만든 <28>. 정유정 작가의 신간이 드디어 나왔다. 국내 소설에서 보기 힘든 서사와 소설의 힘을 보여준 소위 '대박'을 친 <7년의 밤>이라 그만한 소설을 또 쓸 수 있을까 하는 염려도 있었다. 워낙 좋아하는 작가라 의심은 안 했지만 솔직히 걱정이 되긴 했었다. 그러나 그건 기우에 불과했고 흠 하나 잡을 것 없이 완벽하게 작가가 만들어 놓은 세계에 풍덩 빠져 시간 가는 줄 모르고 그저 즐기기만 하면 되는 거였다.

 

'불볕'의 뜻을 가진 가상의 도시 '화양'. 개에 물린 남자를 구조한 119 구급대원과 병원 응급실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괴질이 퍼져 나간다. 일명 '빨간 눈'이라 이름 붙혀진 정체불명의 괴질은 급속도로 사람의 목숨까지 앗아가는데 119 구조대의 팀장 기준은 가족들을 피신시키려 하고 간호사 수진은 동료들의 죽음을 지켜보며 아버지가 집에 돌아 오기만을 간절히 바란다. 한편, 알래스카에서 개썰매 대회에 나갔다가 목숨만 건져온 재형은 '드림랜드'에서 유기견들을 기르며 지낸다. 개썰매 대회에서 개들을 잃어버린 사건이 윤주에 의해 기사화되면서 '드림랜드'는 위기에 처하게 된다.

 

개와 사람이 똑같은 병에 걸린다는 인수 공통 전염병이 화양을 휩쓸고 도시는 점점 무간지옥으로 변해 간다. 사람과 사람 사이, 사건과 사건 사이를 정교하고 치밀하게 연결 지으면서 주인공들을 벼랑 끝까지 내몰리게 만든다. 읽다 보면 머릿속에서 생각 같은 건 사라지고 몸과 마음이 먼저 반응해 온다. 맹독을 품고 달려드는 독사처럼 살기 가득한 인간의 본성 앞에선 온몸이 찌릿해진다. 책 두께가 무색해질 정도로 무섭게 빨려 들어가 깜깜했던 밤의 시간은 어느새 새벽이 되어 갔다. 그래, 밤을 꼬박 지새울 정도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다.  

 

소설을 읽고 무언가를 깨달아야만 하는 게 꼭 좋은 소설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독자들이 마음껏 즐길 수 있는 게 진짜 소설 다운 게 아닐까 생각하는데 이런 면에서 작가가 많은 고민을 한 것 같다. 소설을 끌고 가는 힘만으로도 대단한 여운과 깊은 울림을 주기엔 충분했는데 그저 작가의 본능대로 써내려가기만 한 소설이 아니라는 흔적들이 여실히 드러난다. 인간과 함께 지구에 발을 딛고 살아가는 존재들의 소중함에 대해 질문을 던지기도 하고 약한 존재 앞에서 너무나 강해지는 인간의 그 대단한 존엄성에 가차 없이 서슬 퍼런 칼날을 들이댄다. 잔혹하게 일그러진 인간의 본성은 참혹하기 그지없지만 그걸 이기고 버텨내야 비로소 더 단단해지기 마련인가 보다.

 

전작의 기대를 뛰어 넘기란 쉽지가 않은 일이다. 그런데 작가는 보란 듯이 그걸 해냈다. 문학계의 이단아로 불리며 정통한 소설가들과는 다른 행보를 보여줬던 정유정 작가. 이제는 작가의 이름 앞에 여태 붙어 있던 수식어를 떼버리고 다른 걸 붙여 주고 싶다. '페이지 터너의 끝판왕'이라고. 열정과 뚝심 하나로 묵묵하게 지켜온 그 자리가 이제는 더 탄탄해졌으니 이보다 더 한 기대를 해도 무리가 아닐 거라 생각한다. 부디 차기작을 볼 수 있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기만을 바랄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