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집을 발로 찬 소녀 2
스티그 라르손 지음, 임호경 옮김 / 뿔(웅진)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대망의 밀레니엄 시리즈의 마지막 <벌집을 발로 찬 소녀>를 읽었다. 2012년 1월에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을 시작으로 10월에 <불을 가지고 노는 소녀>를 읽고 12월에 마지막편까지... 올해 처음과 끝을 함께 한 책이라 그런가. 다른 책들을 읽고 난 후의 기분과 사뭇 다르다. 다시는 리스베트와 미카엘을 만날 수 없다는게 제일 큰 이유일지도 모르겠다.

 

<불을 가지고 노는 소녀>에서 큰 부상을 입었던 리스베트. 아버지 살라첸코와의 과거 청산과 리스베트 개인적인 복수, 더 나아가 살라첸코 클럽 혹은 섹션이라 불리우는 배후의 세력을 낱낱히 파헤치며 소설은 긴박하게 흘러간다. 밀레니엄에서 SMP로 이적하면서 생긴 스토커때문에 골치 아픈 에리카의 얘기까지 맞물리게 된다. 많은 등장인물들과 모종의 이해관계들이 얽히며 사건은 한치 앞을 내다 볼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해진다.

 

소설 속 낯선 이름들에 조금은 적응했다 싶었는데 전편보다 많아진 등장인물들과 인력통제 기관인 세포에 대한 이야기가 중반까지 너무 늘어져 초반에는 고생 아닌 고생을 했다. 긴박한 밀레니엄이 그리워지기도 했지만 고비를 넘기니 역시 밀레니엄이라며 추켜세우기 바빴다. 속도가 붙으니 책장이 줄어드는게 아쉬울 정도로 술술 재미있게, 무섭게 빠른 속도로 읽힌다. 3편의 마지막 부분인 법정씬. 이 소설의 하이라이트인 법정에서의 갑론을박은 지루해질 수 있는 부분이었는데 그동안 찾아냈던 증거들을 토대로 반박하는 장면에선 통쾌하기까지 하다. 공권력을 무기로 온갖 범죄를 저질렀던 비밀 조직의 전말이 드러나며 단순히 리스베트의 개인적인 복수가 전부가 아님을 알게 된다. 

 

800쪽의 레오파드를 일주일이나 붙들고 있었는데 400쪽이 넘는 책 두 권을 단 삼일만에 다 읽었다. 속도감이 굉장하다. 그게 밀레니엄의 제일 좋은 장점이지만... 다만 아쉬운게 있다면 일찍 타계한 작가때문에 다음 시리즈를 볼 수 없다는 것. 그게 제일 아쉽고 또 아쉬운 점이다. 그래도 새로운 시작을 하기 전에 완벽한 마무리를 해줘서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다. 다음 시리즈의 리스베트와 미카엘의 행보가 궁금해지긴 하지만 결말은 결말이니까.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는 작가의 힘을 느낄 수 있었던 소설. 다음 시리즈는 볼 수 없지만 어딘가에 리스베트와 미카엘이 살아 있을거라고 믿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