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아와 새튼이 - 한국 최초 법의학자 문국진이 들려주는 사건 현장 이야기
문국진 지음 / 알마 / 201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타살의 흔적>을 읽고 난 뒤 법의학쪽의 책을 찾아보다가 두 달 전 법의학자 문국진 박사의 인터뷰집인 <법의관이 도끼에 맞아 죽을 뻔했디>를 본 적이 있다. 대한민국 최초의 법의학자이고 그 연세에도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하는 모습이 존경스러웠다. 하지만 내가 정말 궁금했던 현장에서 경험한 다양한 사건들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볼 수 없어서 아쉬웠더랬다. 책에도 소개되었던 사례집 <지상아와 새튼이>가 있다는걸 알게 되었고 책 속으로 빠져들었다. 1985년과 1986년에 단행본으로 출간했던 책들의 내용 중 몇 몇 이야기들만 뽑아 다시 나온 책이 이 책이다. 

 

1950년대에 법의관이 된 문국진 박사. 오랜동안 법의학계에 종사하면서 현장에서 경험한 다양한 사건들을 이야기한다. 인터뷰집에서도 보았던 낯익은 사건들도 더러 있었고 처음 들어보는 놀라운 사건들도 있었다. 총 5부로 나뉘어져 있는데 각 부별로 소개된 살인사건들은 단순하지 않고 자칫하면 미제로 풀릴 수 있는 사건들을 많이 다루고 있다. 모든 살인사건을 평범하다 할 순 없지만 그 중에서도 유별나고 독특한 살인사건들 위주로 쓰여진 책이라 흔하지 않고 자극적인 소재에 좀 더 몰입하고 읽지 않았나 싶다.

 

인터뷰집에선 척박한 국내 환경에 대한 아쉬움을 많이 얘기했는데 역시나 이 책에서도 그런 부분은 여실히 드러난다. 죽은 뒤에 부검을 하면 두번 죽는다는 한국 사람들의 부정적인 생각때문에 시체에서 범인에 대한 증거를 찾지 못한채 미제 사건으로 남을뻔한 이야기는 아찔했다. 세상이 많이 변했다 해도 부검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들은 아직까지도 변하지 않고 앞으로 더 많은 의식변화가 필요함을 느꼈다.

 

살인사건에만 너무 치중한 나머지 증거에 대한 자세한 사례들을 볼 수 없어 아쉬운 점도 있긴 하지만 지루하지 않게 읽힌다. 살인사건 사례집만으로도 이런 재미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은 좋긴 하지만 살인사건을 다룬 사례집이 무조건 재미로만 읽혀진다는 것에 대해 반성도 조금 해본다. 하지만 관심을 계속 갖게 만들고 책을 자꾸 찾아 보게 만드는건 사실이니 재미로만 읽는건 슬쩍 모른 척 해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