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품정리인은 보았다! - 개정판
요시다 타이치.김석중 지음 / 황금부엉이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고독사에 대해 다루던 방송에서 흘러가듯 지나쳤던 유품을 정리하는 그 분들이 생각나 책이 궁금해졌다. 유품정리인이라는 직업 자체가 주는 생소함과 그들이 짧은 인터뷰에서 했던 얘기들이 맴돌았다.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하던 분도 있었고, 가족들에게는 비밀인채 일을 하고 있다는 분도 계셨다. 자부심도 느끼게 하는 직업이지만 차마 가족에겐 말할 수 없는 직업이 대체 무슨 일일까 하는 호기심도 무시할 수 없었다.

 

일본 최초의 유품 정리 회사 Keepers의 대표이사 요시다 타이치가 말하는 46개의 일본 사례들과 이 책의 저자인 국내 Keepers의 대표 김석중이 말하는 국내 사례 10개가 실려있다. 고독사에 대한 사례들이 대부분이지만 고독사 이외에 자살, 살인 등 다양한 죽음의 현장에서 유품을 정리하며 겪었던 일들과 느낌을 생생하게 들려준다. 죽음의 형태가 어찌 되었든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죽음은 없겠지만 저자들이 말하는 여러 사례들을 통해 죽음의 현장에 조금 쉽게 다가갈 수 있었다.

 

죽고 나서 남은 물건들로 한 사람의 인생을 정의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유품정리인들의 사례들을 접해 보니 외롭게 떠난 사람들은 분명 그 흔적들이 남았다. 그 흔적들이란게 유품들 대신 시체 부패의 형태로 나타나 여러 사람을 곤혹스럽게 하기도 했다. 사망한 후 얼마간의 시일이 흐른 후 부패한 채 참혹한 상태로 발견되는 시체가 대부분인 고독사. 최근 혼자 외롭게 쓸쓸히 죽음을 맞이하는 고독사가 증가하는 추세다. 그 이유가 커다란 사회 문제로 대두되는 저출산과 고령화때문이라는데 유품정리인이라는 직업을 통해 문제의 심각성을 살짝 엿볼 수 있었다.

 

책 속의 어떤 아이가 말했다. 유품정리인은 천국으로의 이사를 돕는 사람들이라고... 비록 이삿짐을 정리하고 옮긴 장소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곳이라 해도 굉장히 의미있고 보람된 일임을 알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생각보다 굉장히 많은 고독사 사례들에 놀라기도 했고, 끔찍한 현장에서 묵묵하게 일하는 그들이 대단하고 존경스러워지기도 했다. 남겨진 사람들의 아픔을 곁에서 지켜보는 유품정리인들을 통해 당장 나의 죽음 앞에 초연해질 수는 없겠지만 내 죽음 이후의 시간을 잠시나마 생각해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