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아이 독깨비 (책콩 어린이) 22
R. J. 팔라시오 지음, 천미나 옮김 / 책과콩나무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선천적으로 안면 기형을 가지고 태어난 어거스트 폴먼. 단순하게 얘기하자면 눈, 코, 입, 귀가 멀쩡하게 붙어 있는 곳이 한군데도 없다. 보통의 사람들에 눈이 있고 입은 구개열때문에 음식 먹기도 힘들고.. 모든 기형을 나열하기엔 너무 복잡한 병을 가지고 있다. 그런 어거스트가 학교에 들어가게 된다. 안면 기형때문에 남들 앞에 나서기를 너무 싫어하는 어거스트지만 따뜻하게 환영해주는 친구들 덕에 학교에 적응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학교에 적응하기가 쉬운 일은 아니고 어거스트의 외모때문에 학교 친구들과의 거리는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다.

 

소설은 어거스트와 어거스트 주변인물들의 시점에서 쓰여져 있다. 어거스트의 누나 비아, 어거스트의 친구 서머와 잭, 비아의 남자친구 저스틴, 비아의 절친 미란다 이렇게 어거스트 외에 다섯명의 시점에서도 그려지기도 한다. 그래서 같은 사건이라도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이야기가 틀려진다. 본인이 아닌 타인들이 생각하는 어거스트에 관한 생각도 엿볼 수 있어 색다른 재미도 준다. 처음에는 어거스트의 외모에 다들 놀라 쉽게 다가갈 수 없지만 조금 익숙해지면 어거스트도 다른 평범한 아이들과 같다는걸 알게 되고는 허물없이 지내게 된다.

 

학교에서도, 집밖에서도 어거스트는 외모때문에 늘 특별한 아이 취급을 받는다. 외모만 특별할뿐 다른 아이들과 다른 점은 없지만 사람들의 시선에 상처 받고 주눅드는 어거스트가 짠하기도 했다. 이 소설이 만약 어른들의 시선에서 쓰여졌던 소설이었다면 자기를 이렇게 낳아준 부모와 외모만으로 판단하려는 세상을 원망만 하다 끝났을텐데 어린 아이의 시선이다 보니 원망보다는 투정 비슷한 것들만 보였다. 복잡한 어른의 내면보다는 비교적 단순하고 쉬운 어거스트 또래의 아이들 내면이 이해하기 더 쉬웠던 것 같기도 하다.

 

외모만으로 그 사람의 모든 것을 알 수는 없다. 단지 눈에 보여지는걸로 모든걸 판단하려 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지만 우리네 현실은 그러지 못하다. 사람의 외모를 가지고 정상과 비정상으로 경계를 나눈다는 것 자체가 참 우스운 일이지만 우리네 현실을 탓하기보단 편협한 시선을 가진 나 자신부터 반성해보고 좀 더 넓은 시선을 가져야겠다. 

 

 

 

p. 316

어느 방향에 놓든지 나침반의 바늘이 항상 북쪽을 가리키는 것과 같은 이치랄까. 모두의 눈이 나침반이라면 나는 그들에게 북극인 셈이다.

 

p. 474

누구나 살면서 적어도 한 번은 기립박수를 받아야 한다. 우리는 모두 세상을 극복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