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동물원 - 제17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강태식 지음 / 한겨레출판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 속 주인공 영수는 한 집안의 가장이지만 하는 일 없이 놀고 있는 백수이다. 정리 해고를 당하고 가장 처지에 놀고만 있을 순 없어 닥치는대로 부업을 하지만 수입은 변변치 못하다. 게다가 인형 눈을 붙힐때 쓰는 본드를 마셔 환각 속에 빠져 산다. 그러던중 부업 알선을 해주던 돼지 엄마를 통해 '세렝게티 동물원'에 고릴라로 취직을 하게 되고 동물원에서 여러 동물들의 모습으로 분해 일하고 있는 사람들과 만나게 된다.

 

어쩜 세상에 저런 동물원이 존재할 수 있을까? 사람이 동물의 탈을 쓰고 동물들과 똑같이 먹고 똑같이 행동해 관람객들을 즐겁게 해주는 동물원. 처음에는 어이없고 황당하기까지 하지만 그런 동물원에 반감을 가질 수가 없다. 할 수만 있다면 피하고 싶은 우리네 현실과 너무나 닮아있기 때문일거다. 사람답게 살고 싶지만 사회에서 소외된 그들이 당당하게 설 수 있는 자리는 동물의 탈을 쓰고 연기를 하고 있는 '세렝게티 동물원'뿐이니까. 하지만 그 동물원에서도 경쟁사회의 희생자로 내몰리며 12m짜리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에 올라 버저 누르기 바쁘다. (버저를 누른 횟수만큼 돈이 들어오니까..)

 

영수와 같이 고릴라의 탈을 쓰고 같이 일하게 된 만딩고, 조풍년, 앤. 이들의 살아온 이야기에 실소를 금치 못하다가도 울컥해진다. 최후에는 슬아슬한 절벽 끝에 서게 되지만 그들이 할 수 있는 선택은 없었다. 어쩔 수 없이 내몰린 상황들이 지금의 현실을 비유하고 비꼬아 보는 내내 우울하게 만든다. 그것도 우리네 현실의 단면이라는 생각에 답답해진다.

 

우울한 날에는 마늘을 깐다라는 첫 문장으로 시작되는 소설. 울고 싶지만 울 수 없으니 마늘을 까는 영수의 마음이 나에게도 닿아서 슬퍼할 수가 없었다. 답답한 현실을 작가가 풀어내는 방식은 유쾌하지만 씁쓸했다. 그렇다고 소설이 재미 없다는 얘기는 아니고, 한번쯤은 읽어볼만한 소설. 웃기지만 웃을 수 없는 블랙 유머가 가득하고 답답한 현실을 이야기 하고 있지만 그래도 결국에는 모든게 해피 엔딩이다. 현실을 무조건 외면하고 비난하기에는 영수에게 남은 날들이 너무나 많고 좋은 사람들이 곁에 있어 참 다행이다.    

 

 

page. 159

“마늘이 맵네.”
아내는 거짓말을 하면서 눈물을 훔쳤다. 하지만 나는 안다. 매운 건 마늘이 아니다. 눈물을 흘리는 것도 마늘 때문이 아니다. 사는 게 맵다. 매우니까 눈물이 난다. 한때는 나도 마늘을 까면서 눈물을 흘린 적이 있다. 그래서 안다. 마늘보다 사는 게 백배쯤 맵다는 걸. 그리고 마늘을 깐다는 게 사람을 얼마나 외롭고 쓸쓸하게 만드는지도.

 

page. 214

"동물원에 잇으면 사람답게 살 수 있어. 사람이 아니니까 사람 구실 같은 건 안해도 돼. 솔직히 이 나라에서 사람 구실 하면서 사람답게 사는 인간이 몇이나 되겠냐고, 난 거의 없다고 봐. 하지만 동물원은 달라. 사람 구실은 못하지만 사람답게 살 수 있는 곳이 동물원이야. 웃기지? 내가 그랬잖아. 사는 게 코미디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