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매처럼 신들리는 것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4
미쓰다 신조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나 표지나 하나같이 비호감이었던 <잘린 머리처럼 불길한 것>, <산마처럼 비웃는 것> 도조 겐야 시리즈의 제일 첫번째 이야기가 새로 나왔다. 익숙하지 않은 염매라는 단어와 신들린다라는 조합이 굉장히 자극적이다. 호러 미스터리라는걸 제목에서도 한 번에 느낄 수가 있다.

 

청바지가 귀하던 시절 도조 겐야는 조상 대대로 무당의 집안이었던 흑의 '가가치'가와 팽팽하게 대립하는 백의 '가미구시'가가 있는 산골 마을을 방문한다. 사위스럽고 기이한 분위기의 마을에 여러 괴사 사건이 터지면서 마을 사람들은 공포에 사로 잡힌다. 폐쇄적인 마을에서 벌어지는 살인 사건에는 뚜렷한 증거도 없고 증인도 없다. 그저 정황증거만 가지고 수사를 시작하는 도조 겐야. 지역의 민속 신앙과 팽팽하게 대립되는 두 집안의 이야기가 맞물리지만 사건을 해결할 방법이 없다.

 

생소한 단어 염매가 자주 등장한다. 사전적인 의미로 여러가지가 있지만 개인적인 생각엔 두려움과 경외의 대상이자 그 어떤 마물보다 가장 꺼림칙한 존재라는 뜻이 소설과 가장 어울리는 것 같다. 같은 동양권의 나라라는 것과 비슷한 민속 괴담이 존재 하지만 엄연히 다른 나라이기때문에 이게 무엇이다 하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건 없다. 귀신보다 더 무섭고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존재라는건 알겠는데 정확하게 짚어내기는 애매하다. 하지만 태생이 다를지라도 무서운건 매한가지다. 

 

가가치가에 여섯명의 사기리와 두 집안의 복잡한 가계도만 극복한다면 책장은 술술 넘어가는 편이다. 앞부분의 지루함은 이 소설의 백미인 결말 부분을 위한 장치에 불구하다.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며 질질 끌고 오던 범인을 추려내는데 독자들의 머리를 사정없이 후려 갈긴다. 어떻게 이런 추리가 나올 수 있었는지 대략적인 설명도 붙긴 하지만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추리를 하며 논리 정연한 설명을 하는 도조 겐야에게 깜짝 놀랄 수 밖에 없다. 

 

예전에 혼자서도 잘 보던 공포 영화를 이제는 혼자 못 보게 되었는데 소설도 그런가보다. 읽는 내내 자꾸 뒤를 돌아보게 만드는 이 소설때문에 밤에 혼자 앉아 읽기도 무서웠다. 하지만 이런 서늘하고 오싹한 맛에 호러 미스터리를 보는게 아니겠는가. 국내에도 일본 못지 않게 다양한 민속 신앙과 괴담들이 존재할텐데 그것을 토대로 멋진 소설이 나왔으면 하는 작은 바램이다. 우리네 정서와 더 잘 맞는 소설이니 그 오싹함은 말로 설명하기 힘들테니 말이다.

 

 

page. 459

"허수아비님은 사악한 자에게 벌을 내리실뿐 살인 따위는 아니 하십니다. 그 벌로 인해 목숨을 잃는 자가 있어도 말이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