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유행처럼 번지는, 그래 그 인문학 !
예전 블로그에 정리해둔 글이 있어 가져와 본다.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 탁월함(Arete)에 대한 탐구와 습득->인간의 의무->인간에 대한 학문/실생활에서 인간을 이해하고 역경속에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주는 학문
인문학을 탐구하는 방법
▶문학 : 언어를 수사적 기법으로 사용하여 감동을 생산하고, 생산된 감동을 통해 독자를 자극함으로써 인간이 그리는 무늬, 인간의 동선을 알게해주는 학문
▶사학 : 현세에서 일어나는 구체적 사건들을 시간적/의미적 계기로 조합하여 인간의 움직임을 알게해주는 학문
▶철학 : 세계를 '개념'으로 포착하여 그 개념간의 유기적 연관성을 통해 인간이 그리는 무늬의 정체를 알게해주는 학문
인문학에서 던지는 3가지 기본적인 질문
▶Who am I (진,Verum, 내면의 성찰을 통해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는 것)
▶How to live (선,Bonum, 합리적인 사고로 도덕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
▶Live creatively & Die gracefully (미,Pulchrum, 탁월함의 추구로 창조적 삶을 살고 멋지게 죽는 것)
인문학은 단순한 힐링의 도구가 아니다. 나는 누구인가? 라는 물음을 가지고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 요소가 더해질 때, 인문학은 진정한 가치를 가질 수 있다.
Who am I?
ex)1. 마키아벨리,「카스트루초 카스트라카니의 생애」(Life Of Castruccio Castracani).
우리에게 마키아벨리는 그의 책「군주론」으로 가장 유명하지만, 그가 후에 군주론과 상반되는 내용을 담은「카스트루초 카스트라카니의 생애」(이하 '생애')라는 책을 쓴 사실은 유명하지 않다. 군주론과 생애는 인간의 운명을 놓고 일견 서로 상반된 시각을 제시하는 책들이다. 때문에 적어도 마키아벨리의 사상을 이해하려면, 어느 한 권의 책이나 하나의 주장만을 그의 사상의 총체로 봐서는 안된다.
군주론에서 마키아벨리는 타인을 믿거나, 남의 힘에 의존하지 말고, 더불어 운명의 여신 '포르투나(Fortuna)'에 순응하지 말고 자신의 용기(virtu)와 탁월함(Arete)를 발휘해 운명에 맞서라고 주문한다. 탁월함의 발현, 바로 그가 군주론속에서 우리에게 주고자하는 인문학적 메세지이다. 하지만 그 후 저술한 '생애'에서 그는, 군주론과는 상반되는 내용인 포르투나에 순응하는 카스트라카니의 모습을 보여준다.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돌아온 날, 병사들을 격려하기 위해 말 위에서 기다리다가 찬바람을 맞고 감기에 걸려 죽었다는 주인공의 모습은 '운명적 죽음'을 맞았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나는 용기를 가지고 포르투나를 제압하려고 했다. 나는 양자인 널 보호하기 위해 결혼까지 포기했다. 내가 아들을 가지면 자연히 너와 멀어질까 두려웠다. 나는 맨손으로 루카를 차지했고, 피사와 피스토피아도 정복했고, 비르투스의 삶을 살았다고 자부한다. 나는 큰 나라를 너에게 물려주지만, 큰 슬픔이 밀려온다. 여전히 루카의 정세는 불안하고 우리의 전쟁상대였던 피렌체는 막강한 자본력을 중심으로 우리를 파국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
이런 세상에서는 너 자신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카스트라카니가 아들 파골로에게 남긴 유언 中
비르투(virtu, 용기)를 갖고 포르투나에 대항하며 살았던 카스트라카니의 생애. 피사, 루카, 피스토피아를 차지한 그였지만 유언을 통해, 그것들이 그에게 전부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네가 가지고 있는 영혼의 힘과 너의 나라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네가 전쟁을 치르기에 적합한 인물이 아니라면, 너는 평화의 방법으로 나라를 다스려라."
Who am I?
나는 누구인가?의 질문을 통해,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삶에 임할 때 우리는 진정한 인문학 소양을 갖고 이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