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bar

여름 내내 나하고 쥐는 마치 무엇인가에 홀린 것처럼 25미터 풀을 가득 채울 정도의 맥주를 퍼마셨고, 제이스 바의 바닥에 5센티미터는 쌓일 만큼의 땅콩 껍질을 버렸다. 그때는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살 수 없을 정도로 따분한 여름이었다.
제이스 바의 카운터에는 담뱃진 때문에 변색된 판화가 한 장 걸려 있었는데, 나는 따분해서 견딜 수 없을 때면 몇 시간이고 질리지 않고 그 판화를 계속 바라보았다. 마치 로르샤흐 테스트에라도 사용될 것 같은 그 도안은, 내가 보기엔 서로 마주 보고 앉은 두 마리의 녹색 원숭이가 바람이 빠지기 시작한 두 개의 테니스공을 서로에게 던지고 받는 것 같았다.
내가 바텐더 제이에게 그렇게 말하자, 그는 한참 동안 뚫어지게 판화를 바라보더니 듣고 보니까 그런 것도 같다며 시큰둥하게 대답했다.
“무엇을 상징하는 걸까?”
내가 물어보았다.
“왼쪽 원숭이가 자네고, 오른쪽이 나겠지. 내가 맥주병을 던지면, 자네가 술값을 던져주고."
나는 감탄하며 맥주를 마셨다.
-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 무라카미 하루키
***
어떻게라도 무엇에든 빠져 있지 않으면 견디기 힘든 여름이다.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하고 냉장고를 열어 캔커피를 꺼내들고 책장에 꽂힌 책들을 바라본다. 아직 손대지 않은 책이 많지만 가끔은 예전에 읽던 책을 다시 들춰보고 싶어진다. 오래 전에 들었던 음악을 다시 들으면 그 음악을 들었던 시절의 추억이 머릿속에서 재생되는 것처럼 책 또한 그러하다. 책 모서리에 쌓인 먼지는 그동안의 시간의 침전물이다. 묵은 시간을 조심스레 털어내고 안락의자에 앉아 아무 페이지나 펼쳐 놓고 그것을 읽고 그것을 처음 읽던 때와 지금의 느낌을 비교한다. 이것이 내 나름의 지겨운 여름을 견디는 하나의 방법이다.
어제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이 읽고 싶어졌다. 그래서 그의 처녀작인 얇은 이 책을 꺼냈다. 손이 가는대로 아무 페이지나 들춰보다 다시 처음부터 끝까지 읽었다. 젊은 나이에 죽은 여자는 죽었기에, 영원히 젊듯, 책 속의 ‘나’는 여전히 스물한 살 그대로다. 나는 그동안 두 살을 더 먹었는데도. 스물한 살의 ‘나’, 그리고 쥐와 제이는 여전히 그곳에서 맥주를 건네고 마시며 텅 빈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말하자면, 제이스 바는 뭔가가 공허한 느낌이 드는 공간이다. 제 아무리 침몰 직전의 여객선 같다고 해도 책 속의 그들은 줄곧 맥주만 마셔댈 뿐이다. 마치 그들의 시간은 맥주에 섞여 아무 의미 없이 흡수되어버리는 느낌이랄까. 그래,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살 수 없을 정도로 따분한 여름이고, 청춘일 테니까.
김빠진 맥주 마냥 밍밍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나로서는 내게도 그런 바가 하나 있었으면 싶다. 살갗을 찌르는 여름한낮의 햇볕을 피해 달려가 술값을 던지고 맥주병을 받으며 시시한 농담이나 나누며 얼른 이 여름이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뭐, 별 수 있겠는가.
(2007.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