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렇다면 왜, 그녀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을까? 어느 면에서 그것은 치명적으로 불발된 <도와달라는 외침>이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프로이트는 썼다. <산다는 게임에서 가장 큰 판돈인 삶 자체가 걸려있지 못할 때엔 삶의 흥미는 줄어든다.> 실비아는 거기에 도박을 걸었던 것이다. 어쨌거나 승산이 자기 편에 있음이 이미 드러났으므로, 그러나 아마도 그녀의 암울한 마음이 이기든 지든 크게 상관없다는 생각으로, 그녀는 최후의 내기를 걸었다. 그녀의 계산은 빗나갔고 그녀는 졌다.
A. 알바레즈 『자살의 연구』 중
살아있을 때보다 죽고나서 더 유명해진 실비아 플라스. 말로만 듣던 그녀의 삶을 영화로 접하게 되었다. 시를 쓰던 그녀의 생애가 궁금했고 무엇보다 그녀가 왜 서른을 갓 넘은 나이에 자살을 했는지가 몹시 궁금하던 터였다. 영화는 그녀가 영국 유학 중 테드 휴즈를 만나 결혼을 하고 이혼 후 자살을 하기까지의 이야기로 진행된다. 결혼 전 그녀는 전도유망한 시인이었다. 영화에서는 생략되어있지만, '어릴 때부터 시를 쓰는 신동이었고 고교시절엔 상이란 상은 거의 휩쓸다시피 했으며 대학에서 역시 우수한 장학생에 이런저런 대학 단체의 회장이었고, 갖가지 상을 탔다.'(by A. 알바레즈) 그런 그녀가 결혼을 하고나서부터는 시인으로서가 아니라 바야흐로 유명세를 타기 시작한 시인의 배우자이자 아이들의 어머니로서의 역할로 바뀌게 되었다. 결국 그녀에게 돌아온 건 남편에 대한 피해의식, 의부증, 극심한 불안과 강박증 뿐이었다. 영화에는 주로 그런 그녀의 불안과 공포로 점철된 불행한 모습이 드러난다. 영화의 장점은 기네스 펠트로가 진짜 실비아인 듯한 내면 연기가 훌륭하다는 점이고 단점은 시인으로서가 아니라 시인의 아내로서의 모습이 주로 나타나는 점이 아쉽다는 점이다.
다시 알바레즈의 인용구로 돌아와서, 그렇다면 왜, 그녀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을까? 영화만 본다면 남편의 외도와 사랑의 좌절이 주된 원인인 것처럼 보인다. 헌데, 정말 그것 뿐일까? 남편 휴즈가 떠난 후 그녀는 무서운 기세로 글을 쓰기 시작한다. 자신에게 유일한 호평을 보내오던 알바레즈를 찾아가 그녀가 쓴 시를 낭독하고 다시금 시인으로서의 역할로 돌아온 듯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마지막에 그녀를 찾아온 테드에게 애인과 헤어지고 다시 데본으로 돌아가자는 그녀의 제안이 좌절되자 결국 얼마 안 가 그녀는 가스를 마시고 죽고 만다. 그녀의 새로운 책의 출판을 바로 목전에 두고 말이다.
하지만 역시 사랑의 좌절만이 그녀의 죽음을 초래한 건 아닐 것이다. 그녀는 이미 오래전부터 몇 번이나 자살을 시도했었고 죽음에 대해 시를 썼다. 알바레즈는 그런 그녀의 불안정한 모습의 원인을 두 가지로 제시했는데, 하나는 그녀가 아홉살이던 때에 죽은 아버지로부터 버림당한 느낌을 그녀를 떠난 테드를 통해 다시 한번 받은 데에 대한 상실감이 그것이고, 또 하나는 10년마다 자신이 부여한 죽음의 시험을 통과했다는 점에 대해 자격을 얻음으로써 그것을 쓸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어쨌거나, 그녀는 끝내 죽었고 유고작으로 하여금 유명해졌다.
그녀의 삶에 비하면 영화는 매우 부분적이다. 자살로 향하는 그녀 삶의 후반부에, 그것도 그녀의 사랑의 좌절에만 거의 집중되다시피 했으니 많을 걸 기대한다면 실망할지도 모른다. 궁금하다면 그녀가 직접 쓴 저서나, 알바레즈의 『자살의 연구』의 프롤로그를 읽어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