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정의 픽션
박형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10월
평점 :
당신은 소설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문학 개론서식으로 말한다면, 일정한 분량의 언어를 갖춘 개연성 있는 허구? 아니면, 있을 법한 한 편의 이야기? 그런데 말이다. 개연성이라곤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고 더더군다나 전혀 있을 법하지도 않은 이야기가 뻔뻔하게도 소설이라고 막 나온다면 어떨까.
그래, 제목에 버젓이 픽션을 붙이고 등장한 이 <자정의 픽션>은 그런 소설이다. 읽다 보면, 어 이거 아주 막나가네?-라는 말이 저절로 나올만큼 이 책은 뻔뻔하다. 그리고 아주 웃기다. 헉, 소리를 내다, 낄낄거리다, 얘 왜 이래, 하다 소설은 끝난다. 이제까지 소설을 읽으며 뭔가 하나씩 건지려고 했던 독자들은 당황할 수밖에 없다. 건질 게 없으니까. 아니, 일단은 없어 보이니까.
두 교수가 서로를 겁주고 무시하고 얄밉게 웃다가 정신없이 들이대며 말허리를 자르고 몰아세우다 딴청부리며 막나가든가-논쟁의 기술에서 정말 그런다- 한 망상적인 작가가 제멋대로 미래 세계를 창조한다든가, 망자들이 자전거를 타고 길을 통과해 저 세상으로 간다든가, 사소한 장난으로 파멸해간 아이라든가, 우리가 배웠던 「사랑 손님과 어머니」를 음란소설로 규정해버린다든가, 자신의 성기를 자른다든가, 한 방에서 죄와 진실이 창조된다든가, 백수 청년의 넘쳐나는 머릿기름을 사수하고자 미국과 쟁탈전을 벌인다든가 하는 것들이 이 책에 나온다.
그래도 이 책에 실린 대부분의 이야기에 상통하는 한 가지 키워드가 있다면 그것은 '인간의 욕망'이다. 논쟁에서 이기고 꼴 보기 싫은 인간을 상상을 통해 징벌하고 엄마의 품을 차지하고 유전을 사수해 강자가 되고 싶은 욕망 말이다. 그리고 그 욕망으로 인해 파멸한다. 아주 사소한 욕망도 마찬가지로. -「두유전쟁」의 성범수는 단지 배가 몹시 고팠을 뿐이었다.
작가는 욕망을 재료로 제멋대로 지은 듯한 이 소설집의 후기에서 이렇게 말한다.
내가 생각하는 '자정'이란 가라타니 고진이 그리워하는 '요란했던 근대' 이후의 시간이다. 동시에 서사문학이라는 대가족 안에서 소설이 태동하던, 태아처럼 웅크린 채 자신의 미래에 대해 홀로 자문해보던 근대 이전의 저 먼 '새벽'을 의미하기도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자정'은 사람들이 저마다의 얕은 꿈을 꾸거나 혹은 잠을 이루지 못해 고단하게 중얼거리는 시간이다.
내가 이 소설집을 읽고 그의 후기를 읽고난 박형서에 대한 감상을 말하자면 그는 이렇다. 아주 뻔뻔하거나, 혹은 진지하거나, 아니면 둘 다이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