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지식인의 글쓰기 노트 - 글쓰기에 대한 사유와 기록 조선 지식인 시리즈
고전연구회 사암, 한정주, 엄윤숙 지음 / 포럼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글을 쓰기보단 말하기에 더 익숙한 존재다. 사실인즉, 생각보다 훨씬 더 글쓰기는 어렵다. 이 시대의 문장가 김훈마저도 밤새워 원고지 한 장을 채우고 그것마저 마음에 차지 않을 땐 딱 죽고 싶은 심정이었다고 할 정도로 보면 글로 밥을 벌어먹는 사람들에겐 더욱더 글쓰기는 고통을 빼놓을 수 없는 절실한 행위다. 물론 창조적 고통은 단순한 고통을 넘어서 어떤 숭고함마저 품고 있기는 하지만.

 그런데 요즘 출판계를 보면 이 글쓰기가 더이상 글쟁이들만의 전유물은 아닌 듯하다. 그만큼 글쓰는 능력이 요구되는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리라. 입을 떼자마자 읽고 글자를 깨우치자마자 외우기 바쁜 이 시대 사람들은 대학에 가고 사회에 나가서야 비로소 자신이 글쓰기와는 너무 동떨어진 삶을 오래 살아왔음을 깨닫는다. 그런 그들을 위해 각종 글쓰기 관련 서적들이 만들어지고 심지어 어떤 이는 밥하기 보다 더 쉬운 글쓰기란 표제로 펜대 굴리기에 주눅든 이들에게 희망어린 유혹의 손짓을 내보인다.

 그런 와중에 옛 문인들의 문장에 눈을 돌린 이들이 있다. 고전연구회 사암(俟巖). 조선 지식인 시리즈를 낸 그들의 책 중 내 손에 들어온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제목을 보면 짐작하겠지만 이 책은 조선 문인들의 글쓰기에 대한 사유를 모아 엮은 것이다. 박지원, 이덕무, 이익, 정약용, 허균 등 익히 들어 앎직한 옛 문장가들이 글쓰기에 대해 어떤 마음 자세를 지니고 그것을 다루었는지 알 수 있다.

 특히 나는 정약용과 최한기의 글이 마음에 와닿았다. 정약용은 문장이란 마음 깊은 곳에 쌓아둔 지식에서 나오는 것이라 하였고, 최한기는 글은 글쓴이의 얼굴이라 했다. 과연 글을 쓰려 하는 자는 우선 자기가 쓸 수 있는 것을 써야 하며 애써 밖에서 끌어다 뼈대 부실한 글을 쓸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글은 곧 글쓴이의 얼굴이라 하니 결코 경박한 마음으로 백지를 대해서도 안 된다. 백 번 천 번 지당한 말씀이다.

 이 책에 들어차 있는 사유들은 모두 한 장 분량의 짤막한 글로 이루어져 있다. 그 글들을 통해 현대인이 배워야할 점들이 많기에 유효한 고전의 진미를 맛볼 수 있다. 다만 거슬리는 건, 각각의 글 뒤에 달아놓은 저자들의 코멘트다. 기왕 코멘트를 달려면 책의 주제에 걸맞게 글쓰기와 글쓰기를 대하는 자세를 중점으로, 그리고 조선 문인들의 글을 보충하는 방향으로 좀 더 자세하고 무게 있게 달아주었으면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일었다. 마치 문화교양지에서나 어울릴 듯한 뜬금없는 코멘트는 확실히 책의 진가를 떨어트렸다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