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앤 아버스 - 금지된 세계에 매혹된 사진가
퍼트리샤 보스워스 지음, 김현경 옮김 / 세미콜론 / 2007년 2월
평점 :
절판


인간이 만들어낸 금기는 흔히 인간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게 마련이다. 금지된 세계는 그만큼 유혹적이다. 한 여성의 삶을 그것에 모두 걸 만큼. 다이앤 아버스의 전기인 이 책의 표지엔, 금지된 세계에 매혹된 사진가라고 적혀 있다. 어떠한 세계가 그녀를 매혹했을까, 그 금지된 세계로 나를 이끈 것은 그 문구에 대한 궁금증이었다.

책을 접하기 전, 나는 그녀의 사진을 볼 수 있을거라 생각했다. 그러나, 그녀가 찍은 사진은 없었다. 이 책은 그녀의 삶을 조명하는 전기니까, 당연한 건지도 모르겠다. 이 책에는  아주 꼼꼼하게 그녀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한 편의 잘 만들어진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하다. 저자는 그녀와 관련된 사람들을 인터뷰하고 수많은 인용부호를 사용하여 책을 썼다. 더불어 그녀의 가족, 친구, 지인의 삶에 대해서도 꼼꼼히 쓰여 있다. 이것은 다소 짜증스러움을 유발했지만 나중에 가서는 그들을 통해 다이앤 아버스라는 한 인물의 다각적인 면을 볼 수 있는 하나의 방편이겠다는 생각에, 일면적으로 한 인물을 조명하는 여타의 전기문과는 또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기도 했다.

다이앤 아버스는 부유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부모는 많은 것을 누릴 수 있을 만큼 부유했고, 다이앤은 그것들 사이에서 보호받으며 자랐다. 그녀는 이 '보호받음'에 일종의 컴플렉스를 가지고 있었던게 아닐까 싶다. 자신이 부르주아라는 사실은 그녀를 썩 유쾌하게 만들지 못했다. 그녀는 다른 세계, 특히 보지 말것을 명령받은 세계에 무한한 호기심을 가졌다. 그녀가 본격적으로 사진을 찍은 것은 좀 더 나중의 일이지만 어릴적부터의 특이한 행동과 성격은 이미 많은 것을 예견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전 손택의 『우울한 열정』에는 토성의 영향 아래 태어났다고 얘기하는 발터 벤야민을 다룬 부분이 있다. 그것은 그를 이루는 우울한 감정에 대한 점성술적인 개념이다. 하이퍼크라피아는 창조적인 열병을 말한다. 그러한 열병은 흔히 우울한 상태에서 일어난다. 많은 예술가들이 이것을 경험했고 놀라운 작품을 만들어내는데 큰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자살로 생을 마감하게 만들기도 했다. 이렇게 좀 더 남다른 감성을 가지고 태어난 이들이 예술가가 되는 것은 아닐까. 다이앤 아버스는 우울증을 가졌고 또한 자살을 했으며, 어릴적부터 '위대하고 슬픈 예술가'를 꿈꿨다.

광기 어린 그녀의 카메라는 쉴새없이 셔터를 터뜨렸다. 점잖은 사람들의 본성을 향해, 모두들 외면하는 기형인들을 향해 그녀는 거침없이 다가갔다. 수줍음을 드러내는 그녀의 내부엔 이러한 광기와 열정이 어려있었고 그녀의 강렬한 눈빛 같은 카메라는 그것들의 배출구였던 셈이다.

이제 나는 그녀가 찍은 사진들을 보고 싶다. 그녀가 말한 비밀에 대한 비밀인 사진을 통해 그녀를 사로잡은 것들이 무엇이었는지 알고 싶다. 이 책은 풍성하지만 금지된 세계에 매혹된 사진가에 대한 내 호기심을 완전히 충족시켜주지는 못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