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눈이 안 보여, 눈이 안 보여.

차도 위의 한 남자의 절망적인 절규로 이 소설은 시작된다. 신호등불이 빨간불에서 파란불로 바뀌는 사이, 멀쩡하던 두 눈이 멀어버렸다. 남자는 우윳빛 바다를 허우적대며 울기 시작한다. 그를 시작으로 마침내 백색 질병이라고 명명한 이 전염병이 도시로 확산된다. 단 한 사람, 첫 번째로 눈먼 남자가 찾은 병원 의사의 부인을 제외하고.

만약 이 세상 모두가 눈이 멀어, 단 한 사람만 볼 수 있게 된다면, 하는 가정으로 쓰인 이 소설은 짐작대로 참담한 감정을 자아냈다. 내 눈이 행에서 행으로 질주할수록 마음속 두려움은 풍선처럼 부풀어갔다. 정말 진심으로 나는 걱정했다. 이 책을 읽다가 어떤 운명에 이끌려 내 두 눈도 멀어버리는 게 아닐까 하고. 두렵고 무서웠다. 이만큼 책에 몰입하기가 실상은 쉽지 않은데 기이한 일이었다.

아직, 도시 전체가 눈먼 자들의 아비규환으로 혼돈에 휩싸이기 전, 정부는 백색 질병을 예의 전염병에 대한 대책과 마찬가지로 눈먼 자들을 수용소에 격리시킨다. 군인들이 그들을 감시하고, 감시만 할 뿐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으며 동정심조차 가지지 않는다. 그저 제 눈이 무사하기만을 바랄 뿐. 수용소에 갇힌 불쌍한 맹인들은 인간의 최소한의 요구도 무시당한 채 점점 동물화 되어간다. 당연히 인간 사회에서 늘 일어나게 마련이듯, 힘을 가진 자-여기서는 총으로 무장한 자-들이 다른 인간들을 제 앞에 복종시킨다. 그리고 또한 역사가 말해주듯, 그런 자들은 끝내 몰락한다. 그동안 많은 이들이 죽어나갔음은 물론이다.

마침내, 수용자들을 감시하던 군인들도, 정치인들도, 세상 모든 사람들도 눈이 멀어버리자 수용소에 갇힌 자들은 자유를 얻는다. 하지만 모두의 눈이 멀어버린 세상이 수용소와 다를 게 무엇인가. 거리는 썩어가는 시체와 오물로 악취를 풍겨대고 살아남은 사람들은 먹을 것을 찾아 헤맨다. 그들의 이름처럼 집 또한 의미를 잃어버린다. 보이지 않는 눈으로 어떻게 제 집을 찾는단 말인가.

여기 유일하게 눈이 보이는 한 여인은 그동안 함께 지냈던 사람들, 자신의 남편과 검은 색안경을 낀 여자, 첫 번째로 눈이 먼 남자와 그의 부인, 검은 안대를 한 노인, 사팔뜨기 소년을 자신의 집으로 데려간다. 아, 그리고 눈물을 핥아주는 개도 포함하여. 이들에게 이름은 부여되지 않았다. 시종일관 저런 식으로 불릴 뿐이다. 또한 이 책엔 문장부호가 생략되어 있다. 누가 말을 시작하고 끝내는지 집중을 해야 한다. 하긴 누가 무슨 말을 하던 무슨 상관인가. 그들은 그저 눈을 잃고 모든 걸 잃어버린 눈먼 자들에 불과하다. 그들이 두 눈만 잃어버린 것이라고 말하는 건 인간성을 너무 가볍게 보았을 때 얘기다.

눈이 먼 순간 자신들은 이미 한 번은 죽은 존재라고 믿는 그들에겐 살아남는 것이 희망이고 그러기 위해선 무엇이든 먹어야 했다. 그들 옆엔 눈이 보이는 헌신적인 여자가 있다. 나는 그녀마저 눈이 멀지 않은 건 그녀가 눈먼 자들을 품에 안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녀는 성당의 성상과 그림 속 인물들이 모두 눈이 가려져 있지만 유일하게 한 여자가 자신의 파낸 두 눈알을 은쟁반에 받쳐들고 있는 것을 본다. 나는 그것이 유일하게 눈이 보이는 그녀를 상징하는 게 아닐까 싶었다. 백색의 악이 세상을 뒤덮었지만 그녀는 그래도 존재하는 선을 대표했다.

이 비극은, 이 인간성에 대한 실험극은 결국 막을 내린다. 안도의 한숨이 나온다. 그러나 작가는 의사 부인의 입을 통해 마지막 일격을 가한다.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눈은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 볼 수는 있지만 보지는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

그녀는 도시를 내려다본다. 도시는 그대로 있다. 그대, 그대의 도시는 어떠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