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죠리퐁은 있는데 우유가 없다 - 가난은 일상이지만 인생은 로큰롤 하게!
강이랑 지음 / 좋은생각 / 2022년 5월
평점 :
주말 동안 강이랑 작가님의 <죠리퐁은 있는데 우유가 없다>를 읽었다. 손에 착 감기는 부피감, 무겁지 않은 텍스트, 가끔은 고개를 끄덕이기도, 나라면 저렇게 생각하 수 있었을까 고민하기도 하게 하는 작가님의 하루들. 원래 책을 오래 잡고 읽는 편이라 한 편의 책을 다 읽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리는 편인데, 이번 책은 술술 유쾌하게, 또 감동 있게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의 저자인 강이랑 작가님은 어린이 문학을 연구하고, 변역하고, 일본에 유학도 다녀오고, 한국에선 어린이 문학 연구 강의를 하신다. 연구비는 세 달에 한 번 입금. 그나마 지금은 연구도 그만 두고 어린이책 집필에 열정을 쏟고 계신다. 말 그대로 전에도 지금도 미래에도 가난한 삶.
가난이라는 말과 현상 자체가 사실 나에게는 굉장히 가까우면서도 멀다. 뉴스에서, 칼럼에서, 책에서 발견하는 가난은 때론 너무 가까운 것 같고, 중상위층 집에서 운 좋게 태어나 한 번도 경제적 어려움 움을 실감해본 적 없는 나에겐 굉장히 먼 것 같다.
친구가 조리퐁 한 상자를 보낸 날은 연구비가 들어오기 직전이었다. 회사원으로 따지자면 월급이 들어오기 직전의 가장 궁핍한 시기라고나 할까. (중략) 그런데 때가 되어도 연구비가 들어오지 않았다. 그나마 지인들이 보내준 쌀과 김치가 있어서 냉장고에 있는 채소로 버티기에 들어갔다. (중략) 나는 수시로 현금 인출기를 들락거리며 통장 잔고를 확인했다. 이제 우유를 살 돈도 없다.
물론 세상 모든 가난한 이가 유쾌할 수는 없겠지. 작가님의 삶도 가난한 수많은 사람들 중 한 명의 삶일 테다. 어쨌든 작가님은 친구들과, 공부하며 만난 사람들과, 함께 번역을 하는 사람들과 없는 것도 나누고 영감을 나누고 일감을 나눈다. 그러니까 작가님이 추천한 동화책의 작가의 말처럼 "로큰롤한 기분"으로.
동화책 작가로, 연구가로, 번역가로 활동하신 만큼 만난 아이들도 많다. 일본어 발음이 어색해서, 아직 일본어에 능숙하지 않아서 제대로 동화책을 낭독해주지 못하면 어떡하지 고민한 것이 무색하게 함께 즐거워하고, 뒷내용을 궁금해하고, 다른 건 아무래도 좋다는 태도로 다가오던 아이들에 관한 얘기.
동심은 단순히 아이의 마음일 뿐 아니라, 나와 다른 존재를 귀하게 여기고, 우열을 가리지 않는 마음이다. 함꼐할 수 있음을 기뻐하는 마음이기도 하다.
아이가 좋다, 어른이 좋다 이분법적으로 나눌 수는 없고, 결국 때에 따라 유연하게 어른의 마음과 아이의 마음을 선택해서 가져야 한다는 작가님의 말에 동의한다.
그리고 좋은 그림책 한 권을 만들기 위해 어려운 과정도, 지진한 삶도 견뎌내겠다는 작가님의 다짐이 나 또한 새로이 다짐하게 했다. 가끔 일상이 버거울 때면 꿈이고 자기계발이고 취미고 다 때려치우고 싶을 때가 온다. 그런데 결국 나도 작가님처럼 최종적으로 그리는 내 이상이 있고, 거기에 도달하기 위해선 "고생했어. 내일은 더 즐겁게 놀자." 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는 거. 그걸 새삼 다시 깨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