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84 3 - 10月-12月 1Q84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특별히 어떤 책을 떠나서, 하루종일 한 권의 책을 잡고 시간을 보낸다는 것이, 과연 시간을 '사용하는' 것인지, '죽이고 있는' 것인지 모를 때가 많다. 재미없는 책을 읽고 있다면 시간을 죽이는 것이고, 재밌는 책을 읽고 있다면 시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일까? 오늘 하루종일 1Q84 3권을 읽는다고 하루를 소모했는데, 약간 허무하기도하고, 책 3권의 대장정을 끝냈다는 것에 뿌듯하기도 하고 그렇다. 대체적으로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을 읽고 있을 때면, 시간을 '죽인다'는 생각은 잘 들지 않는데도, 3권은 아무래도 너무 끄는 경향이 있었다. 리뷰적기에 약간 피곤한 지금.

책이 3권까지 다 나왔을 때 한꺼번에 사길 잘했다는 생각이든다. 2권까지 보고 3권을 기다려야하는 심정이었다면...덜덜 그런찝찝한거 싫다. 1권, 2권, 3권 중에 2권이 제일 재밌었던 것 같다. 주인공들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고, 플롯적인 요소가 제일 많이 들어있다. 글 하나 기막히게 잘쓰는 하루키의 글솜씨에 집중'하기'보다는 아주 자연스럽게 집중'된다'랄까. 여하튼 재밌다.  하루키가 글 속에 또다른 이야기를 집어넣는 액자식 구성은 잘 취하지 않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 소설에서는 특별히 소설 속의 소설장치 '공기 번데기' 의 내용이 이 글의 핵심을 담당하고 그게 무슨 의미일지 생각해가면서 읽는 것이 이 소설의 묘미이다.

판타지적 요소가 많아서 그런지, 상징적인 것들이 많이 나온다. 리틀피플, 마더, 도터, 두개의 달, 공기번데기, 그리고 1Q84년도...이런 것들이 사실상 다 무엇을 말하려는 걸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현실상황과 연관지으려고 노력하다보니, 읽는 도중에 머리가 지끈거리기도 했다. 가령 1Q84와 조지 오웰의 1984년과의 연관관계.. 이 소설이 1984에서 모티프를 따왔다는 것은 당연한 거지만, 특히나 그 중에서도 무엇이 연관되는가이런것이 알고 싶었다. (조지오웰의 1984는 하도 어렸을때 읽어봐서 기억조차 가물가물하다. 조만간 다시 읽어봐야지ㅋ) 1Q84야 1984년도에서 파생된 년도라고 치더라도, 그렇다면 이 소설 내에서 1984년은 무었을 의미하는지 궁금하다.

하나 엉뚱한 생각이긴하지만, 책을 읽는 내내, 난 무라카미 하루키가 이 소설을 통해서, 이 시대를 대표할 어떤 상징적 단어를 제작해 내고싶어하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받았다.ㅎ 마치 조지오웰이 1984를 통해서 'Big Brother'라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낸것처럼, 하루키도 그런 것들을 만들고 싶었던게 아닐까. 리틀피플, 마더, 도터..그런 것들이 그런 연장선상에 있는 게 아닐까.ㅋ 괜히 이런생각해본다.

내용에 대한 의문점에 관해 이야기해본다면.... 3권을 마치고도 뭔가애매한것도 여러가지 있다. 덴고의 엄마는 누구한테 살해된 것일까. 우사카와의 몸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기번데기 만들기 작업은 어떤 도터를 빚어내고 있는 걸까. 아오마메의 몸에 있는 아이는 '선구'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그리고 그 둘이 수도고속도로 비상구로 다시 나온 곳은 진짜 현실일까?(이건 뭐 독자에게 맡겨둔 문제이긴 하지만)  으아아아아 여러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많다.

하루키는 3권으로 책을 마감한 것일까? 아니면 4권을 써낼까?? 개인적으로 안써냈으면 좋겠다. 지금으로 딱 적절하게 아름답게 끝났다. 더이상 덴고와 아오마메가 만난 후의 일들은 듣고싶지 않다. 그냥 그 아름다운 만남의 순간으로 기분좋으니깐 ㅋ

오랜만에 장편의 소설을 본 것같다. 이렇게 바쁜 시기에 장편의 소설을 끝낼 수 있었던 것은 작가 하루키의 힘인 것 같다. 책을 놓지 못하게 만드는 힘.

개인적으로 해변의 카프카보다 대작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나는 여전히 성장소설이 로맨스소설보다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로맨스소설은 자칫해서 가벼워지기 쉽다) 그렇지만 하루키는 하루키이기에 역시 1Q84는 굉장했다. 조만간 [1Q84 어떻게 읽을까]를 읽어봐야겠다. 여러 비평들을 다 모아놨다던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