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프리 디버의 [스킨 컬렉터]는 많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독자들을 끌어들이는 이유가 있다.

예를 들자면 시리즈마다 강박증에 걸린 작가처럼 다른 새로운 사실을 설명하지 않고, 매번 지겹도록 인물들의 특성과 행도을 반복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작가들이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인,
독자들을 믿지 못해 너무 친절하게 설명해주다보니 초반부터 범인이나 범인이 남긴 단서가 노골적으로 드러난다는것이다.

이것은 재미를 추구하는 엔터테인먼트 소설에서 독자가 책을 놓게 만드는 실격 사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프리 디버의 시리즈들이 독자들을 계속 끌어들이는 이유는 이것일 것이다.

탄탄한 취재와 단단한 문장 말이다.

이번 [스킨 컬렉터]에서도 제프리 디버는 독자들을 염려해 너무 많은 정보를 노골적으로 남겨서 초반부터 범 인의 실제 인물들과 범인이 남긴 문장의 의미라던가, 목적을 알 수 있다.

그런데다 제프리 디버는 소설 막판에 모든것을 초반에 알아채고 지루할 독자들에게
, 실재 범행의 주도자와 링컨 라임과의 대화로 자신들이 해온 일에 대해 지루하게 자화자찬하며 설명까지 길게 덧붙인다.

그럼에도 본인은 제프리 디버의 탄탄한 기본기를 그의 문장에서 찾을 수 있었다.

예를들면 ‘술은 한 방울도 남기지 않았다.‘ 같은 문장.

이 문장은 범행의 행동대장이 (왜 단독범으로 그려지는 그가 행동대장임을 초반에 알아채는가는, 체계적이고 콜드블러드를 가진 범행과는 달리 즉흥적인 그의 행동 때문이다.)
링컨 라임 집에 그가 좋아하는 위스키에 독을 타 넣어두고 갔을 때, 독자들에게 그가 그 술을 마셨는지 안마셨는지를 교묘하게 알려주는 문장이다.
별것 아닌 것처럼보여도 이런 문장들이 벽돌처럼 차곡차곡 쌓이면 그 소설은 단단해지고 어떤 이야기를 담아도 기본은 보에주게 되다.

한 챕터의 마지막에 독자에게 링컨 라임이 범인의 독주를 마셨는가 아닌가를 남겨두는 문장으로 ‘술은 한 방울도 남기지 않았다‘라는 문장은 양쪽 다 설명하는 심플한 문장이다.

요즘 소설은 어떤 이야기를 하는가 보다 어떻게 이야기 하는가가 중요하고, 더이상 새로운 소재와 이야그 찾기가 불가능한 요즈음 어떻게 이야기 하는가는 아주 중요하다. 바로 그 어떻게 이야기 하는가의 기본을 이루면서 가장 강력한 무기가 숙련된 문장이다.

단련된 문장 쓰기는 아무 작가나 쓸 수 있는게 아니다. 또한 흉내를 낸다고 되는것도 아니다.
소재와 주제는 아무나 가져다 쓸 수 있어도 이야기를 이루는 벽돌 하나하나를 정교하게 쌓은, 독자들이 스토리에 집중하느라 기억도 못할테지만, 소설의 성패와 진짜와 가짜를구별하게 하는 문장은 훔칠 수도 흉내 낼 수도 없는 중요한 자산이다.

예를들어 하드보일드 단어를 쓰고, 하드보일드 풍 흉내를 낸다고 레이먼드 챈들러의 작품처럼 진짜 하드보일드 소설이 못되고 아류 작품이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탄탄한 기본기인 문장과 묘사 훈련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소설의 기본이면서 생명인 문장 이야기를 하자면 끝이 앖겠지만, 제프리 디버의 소설들이 수많은 단점들을 가지고도 많은 독자들에게 읽히며 추앙 받는 이유는
이야기를 이루는 기본인, 단련된 자신만의 단단한 문장으로 쌓아올려진 튼튼하고 건강한 기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은 요즘처럼 기본 없이, 문장도 없이, 이야기와 대화로만 이루어진 불량식품 같은 소설이 잘 읽히고, 불량식품으로 뇌를 채워서 좋은 것도 나쁜 것도 모르고, 자극만 찾는 독자들이과
작가라고 불리우는 불량식품 제조자가 많은 시대에 중요한 덕목이며 찾아야 할 기본이다.

독자들도 얼마나 많이 읽었는가가 아니라 얼마나 양질의 저서로 뇌를 채웠는가가 중요함을 알아야 할 것이다.엔터테인먼트 소설에도 진국과 불량식품이 있다.
불량식품만 뇌에 채운 독서가들은 안읽은 사람보다 못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