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가에 대하여 

 장 필립 투생은 미니멀리즘, 누보로망  작가로 메디치상을 수상한 작가이다.
그는 1975년 벨기에에서 태어나 정치학을 전공했고, 소설은 물론 영화를 만들려고 하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그의 많은 작품들을 읽을 때마다 뚜렷한 이미지가 뇌리에 박힌다. 
그는 1984년에 [욕조] 를 발표하면서 데뷔한다. 
( 욕조는 많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기도 한 명작이다. 
국내 시인 중에는 그의 소설을 읽고 시를 쓴 작가도 있다. 작품은 다음과 같다.)

 해변의 욕조ㅡ 장 필립 투생
박정대 

욕조는 아름답다, 텅 비어 있는 
그리하여 알몸의 꽃을 심을 수 있는 
욕조는 아름답다, 나는 욕조를 바라본다 
하루 종일, 욕조 속의 여자를 바라본다 

여자는 샤워를 하기도 하고, 꿈을 꾸는 듯 
먼 곳을 향하여 나아가려는 듯 
수영을 하기도 한다, 수영을 하는 여자의 
알몸은 아름답다, 나는 해변으로 가려고 한다,
나는해변이다, 해변의 꽃 모종을 생각한다

나도 언젠가 나의 몸에 꼭 맞는 욕조를 가진 적이 있었다,
종종 그곳에서 알몸으로 누워 삼류 소설을 읽기도 했다

외출할 때는 욕조를 입고 나다기도 했다 사람들은 
그런 나를 요조숙녀라고 불렀지만 개의치 않았다,
나는 욕조 속에서만 알몸이었고 나의 알몸을 느낄 수 있었고
알몸과 얘기할 수 있었다

그런 나를 사람들이 다시 한번 욕조숙녀라고 불러주었더라도 
괜찮았을텐데, 나도 언젠가는 나의 몸에 꼭 맞는그런 욕조을 가진 적이 있었다
그리고 그곳에서 알몸의 나와 
오래도록 부드럽고 긴 섹스를 한 적이 있다


 [욕조]로 등단한 이후로 투생은 [씨],[사진기],[묵설법],[텔레비전],[사랑하기],[도망치기]등의 작품을 꾸준히 빌표하면서 90년대 중요한 작가로 인정 받는다. 투생은 이미 말한 것처럼 영화를 만들려고 했다.그러나 <쥘과 짐>의 프랑소와 트뤼포는 투생에게 충고했다.

 "영화를 하려다 잘 안 되는 사람들은 펜과 종이만 있으면 뭐든지 창작할 수 있는 글쓰기에 전념하는 게 낫다."

 투생은 트뤼포의 충고를 받아들였다. 
이후 그는 프랑스 문학계에서 매디치상을 수상하기도 하며 총망 받는 작가가 되었고
그의 소설들은 계속해서 영화화되기에 이른다. 

 그의 작품들 중 영화화된 건 다섯 편이나 된다.그는 그 영화 중 한편과 바로 `사진기`를 들고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투생은 로브그리예와 뒤라스의 누보로망 계보를 이으면서 미니멀리즘을 추구한다.
 (미니멀리즘과 누보로망에 대해서는 따로 페이지에 적겠다)
또한 평단에서는 그의 작품을 시적이라고 표현한다. 

투생이 [욕조]에서 언급하고 있는 몬드리안의 그림처럼, 
기표와 개념만을 넌지시 제공함으로서 독자 스스로 그 여백을 채워넣을 수 있게 하는 미덕
그것이 투생 소설의 힘이다.


2) 대표작인 [사진기]의 내용

 사진기의 주인공 `나`는 무미건조한 일상을 살아가는 소시민이다.운전교습소에서 만난 파스킬과 이리저리 연애 행각을 발이지만,지리멸열한 일상을 허물어내지는 못한다. 그러다 우연히 파스킬과 여행을 하게 되는데,그는 충동적으로 사진기를 훔쳐 마구 사진을 찍다가 필름을 빼고는 사진기를 해초가 있는 바다 속에 던져버린다. 그는 우뚝 서서 수면을 바라보며 자신이 바다에 버린,지금은 수심 밑에서 녹슬고 있을 사진기를 생각한다. 그 후,인화된 사진들을 살펴보다가 그는 우연히 파스칼의 모습을 발견한다. 사무실에서 꾸벅꾸벅 졸고 있는 파스칼의 모습을. 그는 어떤 충동에 이끌려 파스칼이 있는 파리로 떠나기 위해 기차역으로 향하지만,이미 기차는 끊겼다.그는 허탈감을 느끼며 방황 한 후,조용히 파스칼의 전화를 기다린다.

 "현재 이 순간을 생각하며 다시 한번 그 덧없이 사라지는 축복의 순간을 고정시켜 보려고 애썼다.마치 살아 있는 나비 몸뚱이를 바늘 끝으로 고정시키듯,살아 있는 나비를."

 이렇게 끝을 맺는 [사진기]는 스토아 철학의 "아파데니아"를 추구한다. `어떤 상처나 공격도 고통도 없는 어떤 다른 삶`,이것은 외재하는 욕망의 관계를 요구하지 않는 고통이 평정된 삶일 것이다.

 또한 [씨]의 마지막 문장, "인생,그건 씨에게 식은죽 먹기였다."이 말은 앞에서 기술한 것처럼 고통과 좌절을 온몸으로 느낀 뒤,그것에 지지 않고 극복해 낸 자만이 내뱉을 수 있는 말이다.

  어쩌면 투생은 사진을 찍듯이 써내려간 [사진기]를 통해 이것을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외재하는 사물을 중화시키고 내면의 평정을 유지하게하는 탁월한 삶의 수단일 것이다.

 아닌 척 하면서 독자를 감동시키는 것, 살인으로치자면 살인을 당하는 사람이 눈을 감는 순간까지도 자기가 살해당했다는 것을 알아채지 못하게 능청스럽지만 확실하게 죽이는 살인처럼, 투생은 독자를 적당한 순간에 탁, 낚아챈다.

 그의 소설에서는 무거움을 넘어선 유머와 평온이 느껴지기도 한다. 그렇지만 소설이 질문하는 삶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그 어떤 것보다도 단단하다.

"겉으로보기엔 애매모호한 나의 접근 방식이란, 마치 포크로 올리브를 찍어올리기 전에 올리브를 들들 볶아 탈진시키는 것처럼 내가 직면하는 현실의 진을 빼는 효과를 갖고 있으며, 결코 무리수를 두지 않는 내 성향은 내게 불리하기는커녕 일이 충분히 무르익었다고 보이는 순간 탁,낚아채는데 유리한 상황을 미리 마련하게 하는 료과를 낳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