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주받은 피 블랙 캣(Black Cat) 13
아날두르 인드리다손 지음, 전주현 옮김 / 영림카디널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너무도 인간적인 추리소설!

작품 해설을 통해 아날두르 인드리다손의 집필 당시 전제조건을 보고
추리소설이 이렇게까지 인간적일 수 있었던 이유를 알 수 있었다.
흥미를 위해 튀는 캐릭터를 만들고 자극적인 소재를 더욱 자극적이게 묘사해 나갔다면
이 소설은 그저 한편의 적당한 추리소설밖에 될 수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아날두르 인드리다손은 집필 당시
'아이슬란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을 쓴다'
란 단순하고도 의미있는 전제조건을 걸고 이 작품을 완성해 감으로써
진실함으로 독자들의 내면 깊은 곳까지 침투해 올 수 있는 특별한 추리소설을 써낼 수 있었다.
 
아이슬란드.
이 낯설고도 멀고먼 나라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이란 무엇인가?!
"단일민족 국가인 데다가 다른 민족과의 결혼이 드물기 때문에 아이슬란드는
그야말로 유전학 연구를 위한 산 실험실과 다름없다는 것이었다."

라는 구절이 작가가 이 소설을 써내며 염두에 둔 기본사항을 잘 나타내준것 같다.

도입부의 살인사건으로 밝혀진 피해자에 의한 더 심한 희생자들...
피해자의 피로 얼룩지게 된 희생자의 또 다른 작은 생명.
저주 받은 피는 단순한 의미의 "저주"가 아니였다.
중반부에 들어설 즈음에 느낀 제목의 타당성이
후반부로 갈수록 또 다른 더 큰 의미의 타당성으로 마음을 아프게 흔들었다.
저주 받았지만 사랑할 수 밖에 없었던 작은 생명은
또 다른 의미로 이미 저주 받은 피를 지니고 있었다.

범인을 쫓는 것이 아닌 진실을 찾아가는 것이 이 소설의 방식이다.
미련할 정도의 구식수사 방식으로 때로는 시간도 낭비하고
희생자 가족들의 원성을 사기도 하는 이 소설의 주인공 에들렌두르 형사는
자신의 자식도 제대로 건사 못하는 불완전한 캐릭터로

조금은 나약한 그래서 더 친근한 평범한 아버지이자 한 인간이다.
그래서 그를 통해 알게 되는 사건의 진실들은
명석하고 때로는 장난스럽고 날카로운 다른 추리소설 캐릭터를 통해 보는 사건과는 전혀 다르게 다가올 수 밖에 없다.
사람다운 사람이 마주보게 되는 사건은 그저 흥미를 유발하는 소재가 아닌
우리와 가까운 현실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죽은 것들은 우리 세계에서는 쓸모없는 것들입니다.
시체도 마찬가지죠. 감성적이 될 필요도 없어요.
영혼은 이미 떠났으니까.
찌꺼기만 남았고, 찌꺼기는 아무것도 아니거든요.
의학적인 관점에서 이걸 보셔야 합니다.
육체는 아무것도 아니에요, 아시겠어요?"

일부이겠지만 그릇된 가치관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의 위에 있다는 의식을 가진
의사들의 편협한 이기심을 살며시 비춰주고
피해자들을 또 한번 더 심한 피해자로 만들어버린 권력남용의 경찰의 추악한 모습으로
사회의 외면하고 싶던 어두운 면도 마주하게 한다.

마지막의 시원한 결말을 원하는 독자에게 이 소설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작가가 결말을 내주지 않았다는 것이 아니다.
작가가 사건 해결을 모호하게 했다는 것이 아니다.
이 사건에 얽힌 인물들이 마치 내가 아는 사람인것 처럼
그들의 아픔과 슬픔이 전해져 오기 때문에 책을 덮고서도
한참동안 무거운 마음을 씻을 수 없다.

쥐어짜듯 인물들의 슬픔을 묘사한것도 아닌
오히려 담담하다고 할수 있는 작가의 묘사에도 이상하게 그 담담함에
작가의 서글픈 마음이 전해져 온다.
두뇌회전에 회전을 거듭하고 빠른 전개를 원하는 독자라면 결코 얻을 수 없는
무거운 진실과 슬픔을
완전치 못한 형사를 통해 더욱 현실적으로 보여준다.
머나먼 아이슬란드의 한 사건이
낯설지 않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