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셨다, 그 예수가
홍선경 지음 / 한사람 / 2025년 2월
평점 :
#우셨다,그예수가_홍선경 #한사람
홍선경작가의 <<우셨다, 그 예수가>>는 예수님의 눈물 그리고 성경의 인물에 대한 이해나 깊은 감성과 철학적인 성찰을 담고 있다. 여러 방면으로 성경을 묵상하며 말씀을 가까이하는데 읽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인생과 고난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나라는 존재의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준다. 묵상의 깊이를 한껏 끌어올려준다.
내 앞에 가득 쌓여 있는 돌들을 치워버리려 해도, 다시 쌓이곤 해서 앞이 보이지 않는다. 이렇게 돌들이 쌓이면 하나님을 바라보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내 앞에 있는 이 돌들도 치워야 하고, 무엇보다 하나님이 나를 도와주실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함께 돌을 치우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나님과 함께 이 과정을 이겨내는 것이 중요하다. 마음의 돌을 치우는 것 그리고 물질적인 돌도 치워야 하는 것.
하나님은 말씀으로 생명을 주시는 분이다. 아담에게는 그 분의 숨을 불어넣어 주셨고, 베다니에서는 예수님이 나사로를 다시 살려내셨다. 이렇게 하나님은 말씀으로 우리에게 새로운 호흡을 주신다. 그리스도인은 바로 이 말씀으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말씀 안에서 우리는 진정한 생명을 발견하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깊이 있게 이어 나간다.
P. 141 지독한 고독의 자리, 처연한 눈물의 자리에서 우리는 생각하게 됩니다. 나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일까? 지금 나는 어디쯤 와 있는 것일까? 기댈 곳 하나 없는 순간, 나는 지금 어디로 가는 것일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은 하나님이 그 시간 우리에게 찾아와서 우리 내면의 소리로 묻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어진 삶을 치열하게 살아가다가 만나게 되는 존재론적 물음, 불쑥 찾아오는 그 물음이 우리를 멈추게 하고 흔들어 깨웁니다. 실존적 사색을 하는 사람은 반드시 나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 것일까, 라는 물음을 만나게 되고, 이 물음을 가진 자는 반드시 하나님의 말씀 앞에 서게 됩니다.
유독 많이 봐온 책은 철학서였다. 삶에 대하여 조금 더 깊이있는 질문을 하고 그 질문에 대해 답을 탐구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철학서를 읽다보면 나의 행동과 나의 모습이 왜 그랬을까 더욱 알아가기 때문이었다. 철학서는 인간 존재와 윤리에 깊은 질문을 주기도 한다. 성경의 가르침과 연결이 되어 새로운 시선의 관점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이렇게 하나님이 성경인물을 통해 성찰을 하게 한다. 철학서를 읽은 것이 무색하게 하나님을 깊이 알수록 그 분이 나에게 일하심을 선명하게 느낄 수 있었다. 세미한 하나님의 음성을 귀를 기울여 그 소리를 들으려 해야한다. 소리가 밖으로 흩어지지 않게 그 소리를 듣는 자가 되기를.
예수님은 우리에게 어떤 것에 묶여 있는 사슬에서 벗어나 영원한 자유를 누리라고 말씀하신다. 누구도 속박하지 않았으나 나자신을 내가 끊임없이 괴롭힌다. 하지만 나는 종종 나를 무언가에 가두고 속박하려고 한다. 겉모습이 아무리 화려하게 치장해도 우리는 본질적으로 연약한 존재임을 잊지 말아야한다. 그런사람이 되지 않기위해 누군가 나에게 말을 해주지 않으면 내가 거울을 보며 나의 모습을 보는 사람이 되어야겠다.
P. 47 지금 뭔가를 해주시면 좋겠는데, 분명 해주실 수 있는 분인데 아무것도 안 해주시는 것 같습니다. 지금 상황이 시름 시름 시들어가고 있는데 지금 내가 쇠락해 가고 있는데, 어여 오셔서 살려주시면 좋을텐데, 나의 하나님이 아무것도 안 해주십니다. 지체하시는 하나님, 꾸물거리시는 하나님, 그 사이에 상황이 종료됩니다. 우리에게는 상황 종료처럼 보이지만 하나님은 이제 일을 시작하십니다. 이제 하나님이 일하시기 가장 좋은 상태가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