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은 씨앗을 심는 사람들
폴 플라이쉬만 지음, 김희정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1년 4월
평점 :
작가 폴 플라이쉬만(Paul Fleischman)이 북캘리포니아에서 강낭콩 밭을 일구며 집필한 이 책은 마치 한편의 애니메이션 동화같다.
책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모습을 상상하고 텃밭이 변하는 과정의 색깔을 그리며 책을 읽는 재미가 있다.
이민자의 도시 미국 클리블랜드에 쓰레기 더미로 가득 찬 공터가 있다.
아직도 바람이 찬 4월 초순의 어느날, 베트남에서 온 킴은 아빠의 기일에 강낭콩을 들고 그곳으로 간다. 킴은 아빠가 돌아가시고 여덟 달 후에 태어나 아빠의 얼굴을 기억하지 못한다. 아빠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아 여섯 개의 구덩이를 파 강낭콩을 심는다. 공터에서 사람들이 다니지 않고 눈에 잘 띄지 않는 안전한 장소에 강낭콩을 심는다.
3층 창가에서 그런 킴의 모습을 발견한 루마니아에서 온 아나는 그녀를 관찰하기 위해 망원경을 산다. 며칠 동안 킴이 오지 않자 강낭콩이 시든 것을 발견한 아나는 학교 수위이자 건물 1층에 사는 웬델에게 부탁을 해 그는시든 강낭콩에 물을 주었다,
과테말라에서 온 콘잘로 할아버지도 공터에 관심을 갖게 되고, 이러한 모든 상황을 알게 된 레오나는 관공서 곳곳에 길고 긴 통화를 하고 직접 찾아가서 공터가 시 당국의 소유지라는 것을 알게 된다.
공터에서 파라다이스를 발견한 78세의 늙은 어부 샘은 정원을 가꾸기 위해 푸에로토리코 출신의 소년을 고용해 호박을 심는다.
아빠가 택시기사인 버질은 공터 텃밭에 많은 양의 양상추를 심은 아빠에게 성공적인 수확 후에 자전거 선물을 약속받지만 농사 실패로 마음이 상한다.
한국에서 온 세영은 세탁소를 하다 권총을 든 강도에게 충격을 받은 후 우울증과 대인기피증에 시달려 힘겨운 나날을 보낸다. 사람들이 오가고 커가는 식물들을 보며 세영도 그곳에 고향의 매운 고추를 심고 몸과 마음이 조금씩 회복된다.
멕시코에서 온 임신한 10대 소녀 마리셀라는 씨앗이 자라는 것을 보며 조금씩 생명의 경이를 느낀다.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이 모여 고향의 특산물을 심어 하나 둘 만들어 간 깁 스트리트의 텃밭은 어느새 동네의 명소가 되고 새싹이 돋아나는 순간은 공터의 클라이막스이다. 그들은 공동체 의식으로 맺어진 한 식구가 되어 '물 부족을 위한 아이디어 콘테스트'를 열기도 한다.
날씨와 해충 이야기, 작물재배 정보, 이웃의 소식 등이 텃밭의 공통 분모가 되어 자연의 힘으로 커가는 식물과 함께 자란다.
이민자의 도시 클리블랜드는 어느새 공터의 기적을 이루어 낸 초록빛 보석이 되어 반짝반짝 빛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