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글박물관에 가자! - 이야기로 만나는 한글 세상 궁금해요 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지음 / 시공주니어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공주니어 / 국립 한글박물관에 가자! 이야기로 만나는 한글세상

(#시공주니어, #국립한글박물관에가자, #한글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우리말한글, #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의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2014년 10월 9일 한글날문을 열었대요

전 이책을 통해서 한글박물관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답니다...ㅎ​

한글이 만들어지기 이전의 문자 생활과 함께 세종 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이후

한글이 쓰이고 있는 오늘날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더라구요

국립한글박물관으로 가서 한글이 걸어온 길을 만나 보는 시간을 한번 가져보고 싶군요

저처럼 지방에 있어서 갈수 없다고 아쉬워 하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직접가보면 금상첨화겠지만 이책을 통해서도 충분히

한글이 얼마나 과학적이고 뛰어난 글자인지 배우고, 한글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답니다..^^

 

우리 문화 조사 숙제를 위해 모인 열혈 소녀 누리가 친구들과 함께

조사 주제를 '한글'로 확정하고

<한글바라기>라는 모둠 이름을 정해서

한글을 알아가는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한글이 없었을 때는 어땠을까요?

우리글이 없기에 말을 하되 쓰기는 중국 한자를 사용했는데요

I love you 처럼 영어는 우리말과 순서가 다른 것처럼 한문도 마찬가지로

우리말과는 말의 순서가 다르죠

우리말의 어미전달을 위해 소리 부분이 아닌 뜻 부분을 읽는 부분도 있고

어떨땐 소리로 어떨땐 뜻으로

정말 이러다 보면 의미전달이 정말 힘들었을 것 같아요...ㅡ.ㅡ

한글 바라기 아이들은 사람의 입속으로 들어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한글 자음의 제자 원리를 몸으로 체험하면서

한글에 숨겨진 원리를 알아 나가게 되는데요

하늘, 땅, 사람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만든 모음의 제자 원리

한글은 '모아쓰기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어 누구나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다는 사실 등

한글의 숨겨진 원리를 하나하나 재미있게 알려 준답니다...^^

한글이 이렇게 다양한 원리를 가진 과학적인 글자라는 사실을 통해

한글이 얼마나 과학적이고 뛰어난 글자인지 배우고,

한글을 더 쉽고 바르게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글을 자랑스럽게 여기게 되었답니다...^^

책 곳곳에는 한글 관련 정보를 소개하는 영상이 담긴 QR 코드가 실려 있답니다...^^

세종 대왕의 한글 창제 과정을 담은 영상!

한글의 창제 원리를 소개하는 영상, 전형필이《훈민정음》 해례본을 지켜 내는 과정을 담은 영상과

한글의 연구와 교육에 힘쓴 주시경과 조선어 학회 학자들을 담은 영상 등

책으로만 볼때보다휴대폰으로 간편하게 영상을 볼 수 있어서

그 시대를 여행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그런지~ 이해도 잘 되고

우리글 한글의 우수성을 또한번 새기게 되는 계기도 되었답니다...^^

우리나라 문자 생활의 시작인 차자 표기법!

우리나라의 문자 생활은 차자 표기시대, 훈민정음 시대, 국문시대 한글 시대로 나뉘어 진다고 해요

역사상 문자 생활은 차자 표기법에서 시작되었다네요

차자표기법이란 한자의 음이나 뜻을 이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는 것을 뜻한답니다.

차자 표기법은 한자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어느 정도 익숙해진 후부터 쓰인것이래요

국립한글박물관의 유물과 함께 학예사 선생님과 과거로 여행을 떠나

그 속에서 세종 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이야기를 담아서 이야기로 풀어놓았답니다...^^

아름다운 우리말 한글 이야기와 더불어 아이들이 꼭 알았으면 하는

한글박물관의 실사 유물을 살펴보고 유물과 관련된 역사 여행을 재미있게 다녀오다 보니

한글이 우리 생활 속에 자리 잡게 된 과정을 생생하게 알 수 있답니다.

한글을 지키기 위해 세종 대왕이 어떤 노력을 했는지?

그림으로 한눈에 알 수 있게 해놓았네요

훈민정음 해례본 만들기, 언문청 설립했구요

1447년 과거 시험엔 훈민정음이 처음으로 시험 과목이 되어

사람들이 훈민정음을 배우기를 바랬대요

이 히험을 통과해야 본격적인 과거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말이죠..

세종 대왕의 노력은 이뿐만 아니라

한문으로 되어 있는 책을 훈민정음으로 바꾸는 일도 쉬지 않으셨기에

백성들도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게 되었다고 해요

한글을 만들고 지켜 낸 과정뿐만 아니라 어떻게 한글이 퍼져 나가 생활 속에 자리 잡게 되었는지

국립한글박물관에 전시된 다양한 한글 유물을 통해 알 수 있는 부분으로,

한글이 교육, 종교, 예술 등 일상에 스며들어 쓰이게 된 모습을 사진과 함께 만날 수 있었어요

한글바라기 친구들과 익힌 한글의 원리를 놀이처럼 쉽게 풀어보는 시간을 가져봤어요..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알게 된 것을 활용해

우리 아들 문제를 쉽게 잘 이해하고 해결해서 흐뭇하게 보았답니다...^^

책 뒤쪽에는 앞에서 배운 내용들을 퀴즈로 풀면서

한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기회를 주는 '한글 놀이터'와 한글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한글 연표' 등 알찬 부록도 담겨 있답니다...^^

한글은 문자이지만 문화적으로도 큰 가치를 지니고 있구요
우리 문화를 담고 있는 한글의 소중함을 여러분께 알려 드리고 싶어 이 책을 만들게 되었대요

이 책이 여러분을 한글의 과거? 현재로 안내해 주는데요


세종대왕이 만든 아름다운 우리글 한글이 스마트폰의 폐해로 인해 잘못 사용되고 있는 지금!

아이들이 한글을 더 쉽고 바르게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글을 자랑스럽게 여기게 될 계기를 마련해줄 멋진책이라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