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새의 복수 시공주니어 문고 1단계 62
이상권 지음, 김유대 그림 / 시공주니어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공주니어 문고 독서레벨 1 딱새의 복수

(시공주니어/교과연계/인간과자연/공존/창작동화)

글: 이상권, 그림: 김유대

더는 못 참아! 우리 둥지 좀 내버려 둬!

이책은 <똥개의 복수>에 이어

시우와 선구를 주인공으로 한 연작동화라고 해요

제목부터가 예사롭지 않네요..ㅎ

주인공은 바로 나 딱새! 이외에도 할미새, 박새, 제비, 앵무새

참새, 굴뚝새들이 나와요

특히 딱새와 할미새, 박새, 참새들은 사람들이 사는 집 주변에서 살아가죠​

하지만 선구 녀석하고는 결코 좋은 이웃이 될 수 없대요

왜 그럴까요?​

그럼,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볼께요!

moon_and_james-88

선구는 어려서부터 새를 좋아했대요

서울에 살다 골짜기 마을로 이사와 들새들을 볼 수 있어 신이난 선구!

이제 거의 모든 새소리를 구별할 수 있다나요..^^

아쉽게도 들새들의 둥지를 가까이 본적이 없어

알아서 갓 깨어난 새끼들에게 직접 벌레를 잡아다 먹이고 싶다나요..ㅎㅎ

새들의 입장에선 불안불안하겠지요...ㅡ.ㅡ

알이 깨어지면 헉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죠

"선구 놈이다! 저놈을 혼내 주자!"

할미새들이 하도 빨라서 선구는 엉덩방아를 찧고 말아요..​.ㅎ

어느날, 시우네 처마 밑에 제비가 집을 지었다네요

예전이야 흔히 볼수 있었지만 요새는 보기 힘들어 천연기념물이 될지도 모른대요

선생님께서 제비에 대한 수업을 하고 시우네집까지 갑니다..

선생님, 제비를 손가락질하면서 휴대폰으로 연신찍고

아이들도 제비에 푹빠져 버렸네요

선구는 샘이 나서 견딜 수가 없어합니다...ㅡ.ㅡ

샘이 난 선구는 처마가 없는 콘크리트 집에 제비가 들어오기는 글렀고

할미새는 개울가 낮은 돌벽 틈에 둥지를 짓기 때문에

둥지를 찾아내어 아이들에게 다시금 인기를 얻고자 다짐합니다.

그러다 우연히 가느다란 나뭇가지를 우체통 안으로

쏙 들고 가는 딱새를 발견합니다.

"와아, 딱새다! 딱새가 집을 짓는다아아아!"

선구는 친구 휴대폰으로 찍은 딱새와 딱새 둥지를 보여주며

교탁앞에서 신나게 떠벌립니다.

선구가 좋아하는 이슬이를 위해 급기야 딱새의 알을 끄집어냅니다..

신기하다! 진짜 멋지다! 따뜻해!

딱새 알은 여자아이들 손에서 손으로 굴러다니다가

그만 툭 떨어지고 말아요....ㅠ.ㅠ

딱새 수컷은 자책하듯 부리로 자기 발을 콕콕 쪼아대고

선구를 향해 딱새들이

공중에서 쉴새 없이 똥을 싸면서 욕을 해 댑니다

"이 나쁜 놈!" ,"새똥보다 못 생긴 놈!"

딱새들의 재미난 방법으로 따끔하고 통쾌한 복수!

선구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딱새, 아니 '똥새'들의 똥을 맞는 모습과

딱새들의 악담(?)에 한참을 웃었네요...ㅋㅋ

moon_and_james-4

선구는 이날 이후,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책 속에서 그 해답을 찾길 바래요

거대한 자연에서 약자에 속한 새들에게 인간은 경계 대상일 수밖에 없겠지요

더구나 둥지에는 소중한 알과 새끼가 있기 때문에

새들은 필사적으로 둥지를 숨기지만

그런 마음을 알 리 없는 선구는 끈질기게 둥지를 찾아 나섭니다.

번번이 새들이 둥지를 버리고 떠나는 모습을 보며 선구는 조금씩

'공존'의 의미를 알게 되는 것 같아요

밝고 유쾌한 이야기 속에서 자연스러운 '깨달음'을 얻게 해주네요

이책을 통해서 자연과 더불어 하나되는 과정을 조금이나마 이해한것 같구요

새들의 특징과 습성도 알아가는 알찬시간이었어요...

읽고서 무얼하나 싶었는데 주인공을 그려볼꺼라는 것 있죠...^^

개구쟁이 강선구와 친구 이시우!

딱봐도 장난가득한 얼굴이 잘 표현되어 있네요...ㅋㅋㅋ

앵무새와 참새, 할미새와 박새, 그리고 딱새까지

새들의 특징을 이해하며 잘 표현해서 칭찬 듬뿍 했네요...^^

자연에 함부로 손대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지켜 주는 것이야말로

진정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길임을 알게 해주는

저학년 도서지만 부모와 함께 공감하며 이야기 나눌수 있는 알찬책이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