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 씻나락 까먹는 이야기 우리 문화 속 수수께끼 3
유다정 지음, 김태헌 그림 / 사파리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파리 / 귀신씻나락 까먹는이야기

글:유다정 / 그림: 김태헌

우리문화속 수수께끼 : 우리 문화 원형을 담은 초등 필독서!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이 말뜻을 정확히들 아시나요?

옛날에 한 농부가 소중히 보관한 씻나락을 땅에 뿌렸는데

아무리 기다려도 싹이 나질 않자, 농부는 귀신이 씻나락을 까먹었기 때문이라 여기고

바람소리만 나도 "귀신이 내 씻나락​까먹는구나" 하면서 작대기를 휘둘러 댔다나요...ㅎㅎ

line_characters_in_love-5

지켜보던 아내가 "제발 말도 안 되는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좀 그만하세요"라고 소리치며

말린것에 유래해서 "이치에 닿지 않는 엉뚱하고 쓸 데없는 말"이라는 뜻으로 쓰인대요

이따금 하는 말이지만~ 정확한 유래를 알게되었네요...^^​

우리 민족은 씻나락을 생명처럼 소중히 생각했는데 씻나락 벼의 씨, 볍씨 말한답니다

먹을 것이 귀했던 옛날에는 쌀 한톨도 버리지 않고 벼의 줄기와 잎도 버리지 않았어요​

거둬들이고 남은 벼의 줄기와 잎은 짚이라고 하는데 초가집, 짚신, 멍석, 망태기등 물건을 만들었어요

그럼 쌀과 짚이 우리 민족​과 어떻게 함께 했는지? 살펴보도록 할께요...^^

총 5가지의 주제로 ​쌀과 짚의 이야기가 펼치지는데요...

일상으로 먹는 쌀에 대해서

좀더 깊이 알게되는 유익한 시간이었던 것 같아요...^^

밥, 안먹고 살 수 있을까요?

뾱뾱이로 우리아이들 '쌀''짚"을 만들어 보겠다고..

가을이면 짚을 구할수 있지만.. 없어서 노끈으로 꾸몄더니.. ~ 짚이 아니고 맛살같다고...ㅋㅋㅋ

moon_and_james-4

쌀이 사람들에게 내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될꺼라는데

잠깐 동화속으로 빠져 볼까요?​

가난한 농부 가족은 하루에 겨우 한 끼를 먹을 만큼 가난했는데

가뭄이 들자 이제는 몇날 며칠을 굶게 되었대요

아내가 아이들을 위해 머리카락을 자기 머리카락을 잘라 건네주며

팔아서 쌀을 사와 달라게 해요...ㅡ.ㅡ

​결국 농부는 아내의 머리카락을 팔아서 쌀 한바가지를 얻었지만~

이웃 박서방이 바가지에 개구리를 담아놓은 것을 보고

쌀 한바가지를 건네주고 개구리를 놓아주고 빈 바가지만 갖고 오게 됩니다...ㅡ.ㅡ​

​농부는 빈 바가지를 벽장속에 넣고 자초지정 아내에게 얘기해요

한숨을 쉬고 벽장안을 들여다 보는 순간!

바가지 속에 쌀이 한가득...쌀을 퍼내면 또 한가득...

배고픈 이웃들과 나눠 먹으며 가뭄에도 굶주리지 않고 잘 먹고 잘 살게 되었다는 이야기예요~^^

어려운 처지에도 이웃을 도와주고~ 개구리 같은 작은 생명도 소중히 생각해서​

쌀이 생겨나는 신기한 바가지를 얻게 되었된 게지요...^^

​우리나라 사람은 '밥심으로 산다' 고 하죠.. 시간이 지나 빵과 국수 등 먹거리가 다양해졌지만...

쌀은 여전히 우리의 주식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 같아요..​

​쌀과 관련된 풍습과 속담에 대해 콕콕 정리가 잘 되어 있네요...^^

쌀과 관련된 풍습으로 쌀점치기가 있는데 '점'은 앞날의 운수가 좋을지 나쁠지 판단하는 것으로

쌀을 조금 집어 위로 던졌다가 손바닥에 잡히는 쌀알수로 점을 첬다고 하네요

밥한알이 귀신 열 쫓는다, 쌀독에서 인심 난다, 한솥밥 먹는 사이​, 씻은 쌀알 같다, 밥숟가락을 놓다 등

쌀과 관련된 속담이 이리 많았는지 새삼 놀랬네요...

또 정확한 유래도 모르고 사용했던 것도 있는데

덕분에 쌀과 관련된 풍습과 속담에 대해서 정확히 아는 계기도 되었네요...^^​

돌잡이 합시다...!!

'돌잡이'는 돌상 아래 쌀, 돈, 실타래, 연필, 책 같은 물건을 섞어서 놓아두고

아기가 그 가운데 물건을 잡도록 해서

아이가 잡은 물건으로 아기의 장래를 점치는 것인데요​

아들이 쌀, 책, 돈이 인형처럼 되어 있으니 만들어 보겠다더군요...^^

독후활동으로 인형만들기 하면서 얼마나 웃었는지 몰라요...

뾱뾱이 책올때 모아둔게 요긴하게 활용하게 되었답니다...ㅋㅋ

오.. 어느새 한자까지 새겨넣은 옛날 동전을 그려서

돈 인형을 만들었어요...

을 잡으면 부자가 될 수 있다고...^^

둘째 돌잡이때가 생각나네요...

그때 자꾸 연필을 잡으려고 해서 신랑이 연필에 돈을 말아서 놨더니

그걸 잡더라구요..ㅋㅋ

학사모는 제가 만들어 주었네요..

예전에 동화구연때 배웠던 종이접기.. 겨우 생각해서 만들었답니다..ㅋㅋ

은 둘째가 구구단을 빽빽히 적어서 채워넣었다는요...

그리고 학사모 옆에 있는 수술은 노끈을 땋아서..표현해봤어요...^^​

요..책을 잡으면 공부를 잘 할 수 있다고..

울 아들 연필과 돈을 잡아서 공부를 잘하는 겐지...​ㅎㅎ

moon_and_james-3

​마지막으로 쌀을 잡으면 평생 먹을 것 걱정 없이 건강하게 살 수 있다고..

쌀처럼 우리 잘 만들어 낸 것 같지요...?

책이 친근하면서 재미있어서 우리아이 완전 올인했다는 요...^^​

​'벼의 한살이' 라는 주제로 좋은 볍씨를 고르는 것부터 시작해서

낱알을 털어내어 타작을 한후 짚으로 여러가지 물건을 만들어 내는 것 까지

그림과 함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 정말 유익하네요

24절기로 보는 벼농사!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일 년으로 정한 '양력'과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 '음력'이 있는데요

우리 조상들은 생일이나 제삿날을 따지는 등 일상에서 음력을 많이 사용했지만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돌면서 생기는 날씨 변화 때문에 24절기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아이책인데~ 제가 대충 흘려 알고 있던것까지 확실히 알게 된 넘 알찬 책이었어요..

곁에 두고 수시로 꺼내서 살펴보아야 할 책인 것 같습니다...^^​

책을 모두 읽고서 쌀과 짚, 돈, 책에 대한 인형을 만들고 싶어해서

택배올때 함께 왔떤 뾱뾱이를 이용해 돌잡이​때 필요한 친구들을 만들어 봤는데요

넘 잘 만든것 같아묘...ㅋㅋㅋ

우리 문화속 수수께끼! 우리 문화의 원형과 처음 만나는 ​아이들을 위한

쉽고 재미있는 정보 그림책중의 하나랍니다...

귀신 씻나락 까먹는 이야기 외에도 숫자 3의 비밀, 터줏대감, 와글와글 용의 나라가 있는데

다른 책들도 모두 흥미롭고 알찬정보가 가득해서 만나게 해주고 싶네요...^^

우리 문화에 대한 작은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고, 문화와 역사의 고리가 되는 질문들을 던짐으로써

그 속에 숨어 있는 문화적 의미들을 재미있게 배울수 있는 알짜배기책이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