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 7첩 반상 - 인류 최고 스승 7명이 말하는 삶의 맛
성소은 지음 / 판미동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좀 특이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가 참된 나를 찾기 위한 여정 속에서 저자는 동서양의 경전을 살펴보게 된다. 이 책의 기본적인 내용은 <경계넘어 아하!> 지식협동조합에서 일요경모임에서 시작되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종교의 경계를 넘어 깨달음을 얻기 위한 그런 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자는 제목에서 7첩 반상에서 의미하는 것과 같이 밥이라는 나를 위한 7가지 반찬이 되는 경전 속에서 그 의미를 찾고자 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럼 저자가 도움을 받은 경전을 무엇일까? 그것은 도마복음, 중용, 숫파니파타, 도덕경, 금강경, 바그바드 기타, 동경대전이다. 여기서 언급한 책 하나 하나가 읽기에 편안한 책도 아니고, 쉽게 이해되는 책도 아니다. 하물며 그 하나의 책을 깊이 읽어도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지는 의문스럽다. 여하튼 여기에 언급된 책들은 지식의 탐구가 아닌 깨달음을 얻기 위한 진정한 나를 찾기 위한 마음 공부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책을 소개하고 싶지는 않다. 왜냐하면 저자 역시 7개의 경전을 읽으면서 진정한 나를 찾기 위한 지혜를 구했기 때문이다. 경전에서 말하는 구절을 해석한다고 해서 그것이 깨달음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일견 보기에는 저자는 우리의 마음을 조명하여 보면 그 속에서는 깨달음의 원천이 되고, 신이 될 수 있는 요소라고 할까, 대각을 이룬 부처의 씨앗이라고 하는 참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각 경전에서 다르게 표현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기독교에서는 하나님(성령님), 불교에서는 불성, 동학에서는 한울님, 도덕경에서는 도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이 무엇이 되었던지, 경전 속에서 참사람을 깨달을 수 있으면 위대한 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동서를 막론하고 참사람이 되고자 하는 열망이 있고, 그러한 힌트가 되는 것들을 우리에게 알려주고 싶은 것이다. 저자는 말한 것과 같이 저자가 말하는 이 책의 내용은 경전이라는 전정한 음식(보물)로 들어가기 위한 에피타이져라는 것이다. 또 하나 세상의 종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종교의 경전만을 탐독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종교의 경전도 보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그 경전이 이해가 되지 않을 때 다른 경전의 내용이 그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많이 도와 준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그리고 저자는 마지막에 나의 경전을 쓸 수 있는 삶의 주인 되기를 원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야기 하고 있는 책을 본다면 깨달을 통한 마음 속에 진정한 나를 찾고 그 진정한 나는 우주와의 합일을 이룰 수 있는 그 큰 무엇의 어떤 것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내가 참사람이 되어 우주의 주인이 된다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것일까? 그리고 그렇게 되는 것이 정말 좋은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이것은 마치 판도라의 상자를 열었던 판도라의 심정일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깨달음으로 가고자 하는 선대의 구도자들과 같이 그런 마음이 있는 사람들은 이 책에서 저자의 말처럼 맛보기를 하고, 직접 경전을 읽는 것이 저자가 얻었던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나는 내가 감당할 만큼의 지혜를 얻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