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원의 수업
수산나 타마로 지음, 이현경 옮김 / 판미동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에서 주인공 마테오가 겪은 절망적인 고통 속에서 이런 절망적인 상황을 어떻게 이겨내는 모습을 그려낸다. 우리의 그 누군가가 겪을 수 있는 일이기도 하다. 주인공 마테오는
우연하게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 번호를 물어보는 사고로 눈이 먼 아버지와 이에 버스 번호를 대답한 교사 어머니에 마음에 들어 결혼하여 태어나게 된다. 농촌이 싫어 도시에서 생활하기 원하는 어머니와 현명한 아버지와 함께 생활하며 그는 의사의 길로 접어든다. 그 젊은 와중에는 그는 그의 인생에서 가장 사랑하는 여자 노라를 만나게 된다.
노라와의 결혼에서 다비데를 얻게 되고 그 행복은 영원히 지속되는 것 같았지만, 자동차 사고에서
사랑하는 아내 노라와 아들 다비데를 잃게 되고, 그는 절망 속에서 살아가게 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사는게 사는 것이 아닌, 아무 의미가 없는
삶. 그 속에서 그는 산 속에 들어가 생활을 하면서 여러 사람들을 만나면서 그의 절망의 답을 찾는 것일까? 여전히 그 해답을 찾지 못했지만, 그런 상황에서 나이가 어린 라리사를
만나면서 새로운 삶을 얻은 것처럼 짧은 행복이 지속된다. 라리사가 그를 진심으로 사랑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의 절망적인 불행 속의 그의 나쁜 습관이 다시 임신을 알려온 라리사에게 상처를 주게 된다. 더 이상 마테오와의 삶이 지속할 수 없음을 안 라리사는 사라지게 된다. 그런
와중에 그의 중심이 된 그의 아버지 또한 병으로 죽게 된다. 불행이 연속적으로 다가오면서 그의 아버지
편지 속에서 새로운 희망의 씨앗을 발견하고 라리사를 찾아 돌아다니지만, 그녀를 찾을 수는 없었다. 그녀를 찾는 여행 후, 그는 다시 산으로 가서 절망적인 불행 속에서
벗어난 새로운 삶을 찾을 수 있었다. 마음의 안정을 찾은 그에게 마음으로 먼저 아들임을 느끼게 한 라리사의
아들 나단이 찾아 온다. 왠지 신경이 쓰이고, 마음의 격동을
가져온 나단이 라리사의 아들임을 알게 된다. 그러면서 그는 회복의 삶이 다시 시작되고 있음을 느끼게
되면서 이 책의 이야기는 끝난다.
그의 삶의 여정에서 그는 영원할 것 같은 절망 속에서 희망과 회복의 삶을 구할 수 있는 해답을 찾을 것일까? 그가 찾은 해답을 무엇일까? 그 해답을 자연 속으로 자신의 삶을
동화하는 것일까? 물론 그런 동화되는 시간도 필요할 것이다.
우리가 각자의 삶 속에서 각자의 불행이나 고통 속에서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에게 하나의 가면을 쓰고 우리의 모습을 남에게 보이고 싶어 하지 않는다. 만약 우리의 맨살을
그 누군가가 본다면 우리는 그에게 살의를 느낄 수도 있을 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가 우리의 가면을 벗고, 나의 모습 그대로를 관조한다면 나의
삶 속에 다가온 불행이나 행복을 좀 더 진솔하게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우리의 가면을
쓴다면 그 불행이나 행복은 우리에게 감당하기 어려운 측면으로 다가 올 것이다. 있는 그대로의 맨살의
모습을 자기 자신이 인정한다면, 우리는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더 사랑하게 될 것이며, 그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우리의 굴곡의 삶을 좀 더 이겨낼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저자가 얻은 해답을 우리에게 말하지 않았지만, 그 해답은 우리 가슴 속에 조용히 새겨졌을 것이다. 삶의 많은 부분을
생각하게 한 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