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의 품격 - 리더가 되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21가지
김성완 지음 / 21세기북스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이제는 조직의 리더가 되는 팀장을 위한 것이다. 팀장이라는 위치는 쉽지 않다. 이제 처음으로 팀원이라는 위치에서 벗어나서 팀을 이끄는 팀장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팀장은 자기의 팀을 어떻게 이끌어 나가야 하는지 명확한 개념이 서 있어야 한다. 이 책에서는 팀장이 되기 위한 21가지 능력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먼저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현재 가장 이슈화 되어 있는 소통의 문제인 것이다. 자기가 맡고 있는 팀원의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업무를 원활하게 할 수 없는 것이다. 것에 대한 것은 대부분 잘 알고 있는 듯 하다. 그러나 문제는 바로 팀원과 소통한다고 이야기 하면서 팀장 자신 스스로는 소통을 잘 한다고 여기는 것이다. 그것은 소통이 아니고 소통을 빙자한 일방적인 지시가 되는 것이다. 팀장이면 팀원마다 적절하게 상황과 유형에 맞게 코칭을 해야만 한다. 물론 책에서 제시되어 있는 유형에 따라 할 수도 있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고 자기 스스로가 판단하여 적절한 코칭이 이루어져야만 서로간의 신뢰가 생기게 된다.

두 번째로는 우리가 살아가다 보면 가장 많이 경험하게 되는 바로 인간 관계 문제인 것이다. 서로 다른 생각과 방식으로 일하고 있는 팀원들 간의 갈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 것일까? 저자는 책에서 먼저 갈등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대인관계 갈등해결 전략으로 해결하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인 인간관계는 생각보다 매우 복잡하고 미묘하다. 팀원의 성격을 파악하고 주의 환경을 고려하여 해결할 필요가 있다. 직접 부딪히면서 머리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세 번째는 팀장의 삶에 대해 것이다. 실제로 팀장의 경우 일에 치이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그러면서 조직에서 요구하는 목표를 달성해야 하고, 자신의 삶은 엉망이 되어가는 것이다. 인생의 목표가 회사가 아니라면 적절한 선에서의 타협이 필요하다. 그리고 자기 자신이 감당하고 있는 업무의 양을 점차적으로 팀원들에게 적절하게 분배하면서 팀원들의 능력을 키워나가는 것도 매우 중요한 것이다. 팀원이 재량 것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팀장이 가장 모범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모든 일을 자기가 해야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우리는 함께 일을 해나가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네 번째는 높은 성과를 얻기 위한 삶의 관리 문제이다. 우리가 24간 전부 일한다고 해서 높은 성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시간 분배와 균형 있는 삶에 대한 관리가 되어야 업무 효율이 올라가면, 창의적인 아이디어 많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또 하나 자기의 팀원들이 한 가족처럼 일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도 높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기의 조직이 최고의 조직이 될 수 있는 조직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최도의 몰입도를 가지고 서로 협력하는 조직이라면 최고의 조직이 될 수 있다.

이 책에서 제시한 21가지 능력을 갖춘다면 좋은 팀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거기에 다가 팀장 스스로는 좋은 인성과 품격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