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녹턴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21년 4월
평점 :
애석하게도 나님은 여태까지 단편소설의 매력을 못 느끼는 중이다. 그 누가 썼든지 간에 단편은 내게 쓰다 만 미완의 원고로 느껴질 뿐. 소설을 하루 24시간으로 비유하자면, 장편은 최소 9 to 6이다. 그 정도면 개인의 일과를 충분히 파악할 만한 분량이다. 한데 단편은 뭐랄까, 가장 루즈한 시간대인 2 to 3라는 인상을 받는다. 고작 그 정도로 누군가에 대해 알면 뭐 얼마나 알겠냐는 거다. 그래서 단편은 아무리 잘 써봤자 팥 없는 붕어빵이 되고 만다.
가즈오 이시구로를 참 좋아하지만 단편집은 솔직히 그냥 그랬다. 원래도 글에 잘 힘주지 않는 양반인데, 분량이 줄어든 만큼 더 밍밍한 맛이랄까. 총 다섯 편으로, 전부 음악과 관련된 내용이다. 다 다른 인물의 이야기지만 한 사람의 연속된 내용으로 이해해도 무방하다. 뮤지션이 되고픈 이들의 잡다한 고충과, 영감을 주는 주변인들과의 만남. 꿈과 현실의 경계에서 오가는 수만 가지 감정들. 고통과 희망이 공존하는 세상에서, 나의 선택은 도약과 미련 중에 무엇인지를 알아가는 나날들. 이제는 흔하디흔한 예술가들의 낡아빠진 이야기라서, 더욱 재미없게만 느껴지기도 한다. 이시구로 특유의 잔잔 바리 감성은 볼 수 있었다만, 딱히 뭐.
막상 읽어보면 음악에 관한 내용보다는 삶에 대한 태도를 다루는 것에 더 가깝다. 사람이 한 우물만 파다 보면 시야는 좁아지고, 편협한 사고를 갖게 되고, 세상과의 단절로 고립되는 수순을 밟는다. 하는 일들이 잘 풀리면 그나마 다행인데, 어디 그러기가 쉽나. 그래서 내 신념과 부닥치는 상황이 오거나, 나의 굳건한 신조를 한 수 접어야 하는 상황이 생기면 괴로움의 크기는 배가 된다. 하지만 그런 순간이야말로 자신의 아집과 편견을 깨뜨리고 한 층 더 성장할 기회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래 뭐, 기왕이면 실패보다는 성공을 통해서 성장하고 싶겠지. 헌데 호락호락하지 않은 현실 앞에서 뭐 어쩌겠어. 정 굴복하기 싫다면 유연하기라도 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