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집
니콜 크라우스 지음, 김현우 옮김 / 문학동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콜 크라우스의 작품을 두 권째 읽어보니, 유대인만의 감성이 뭔지를 알 것도 같다. 흑인문학과 비슷하면서도 뭔가 다르다고 느껴지는 건 유대인들의 민족성 때문일까. 해는 떴던 곳으로 지고 바람은 불던 곳으로 돌아간다는 성경 구절처럼, 떠나온 것들은 다 있던 곳으로 가야 한다는 관념 비슷한 게 있다. <사랑의 역사>에서 보여준 그 먹먹함을 갑절로 보여준 <위대한 집>은 솔직히 좀 과했다고 본다. 어떤 고급 요리라도 계속 먹으면 질리거든.


<사랑의 역사>에서 액자소설의 구성을 썼던 것처럼, 이번 작품도 여러 명의 서사를 ‘책상‘이라는 매개체로 하여 연결 짓는 독특한 구성을 보여준다. 말이 연결이지, 단편집의 독립적인 내용들로 이뤄져 있다. 그러니 애써 퍼즐 맞추기를 할 필요는 없겠다. 총 네 명의 화자가 들려주는 고백록인데, 각자 지나간 세월에 관하여 줄줄이 내뱉느라 이야기 자체로는 재미가 떨어진다. 남편과 아내, 친구와 애인, 부모와 자식, 가족과 타인 등등. 유대인들과 관계 맺은 사람들 혹은 유대인 자신들이 말 못 할 어떤 결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다만 그 패턴이 반복되다 보니 짠하던 마음이 점점 느슨해지는 건 어쩔 수 없었다.


작가가 만든 유대인들의 공통점. 내 아픔은 어디까지나 내 몫이어야 한다는 고집이다. 그렇기에 가족에게도 친구에게도 털어놓지 않고 혼자서 감당한다. 연대 책임을 지게 하거나 피해를 줄까 봐 그런 건 아니라서, 그냥 유대인의 민족성이란 이유라 믿기로 했다. 이 책은 세대를 거쳐서 이리저리 옮겨 다니게 된 ‘로르카의 책상‘의 소유자 네 명에 관한 이야기이다. 다만 그 책상에 관련된 에피소드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 게다가 제목에 있는 ‘집‘도 내용들과는 전혀 연관성을 찾지 못했다. 해설에서는 책상을 물려주고 넘겨받는 이 행위를 주목하고 있다. 환경이든 물질이든 운명이든 주어진 건 수용해야 한다는 게 유대인들이 생각하는 본분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